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지속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 및 유지관리 비용 최소화를 위한 균열폭 0.3mm 이상 치유 가능한 자기치유 콘크리트 실용화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치유소재로 유ž무기계, 박테리아, 고상캡슐 및 마이크로캡슐의 대량생산 기술 확보 및 자기치유 콘크리트 실용화 기술 개발 ◼ 1단계 ❏ 목표 자기치유 소재 실용화 기술 개발 ❏ 내용 – 자기치유 소재의 성능향상 및 장기보관성 확보 –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치유성능 평가방법 제안 – 자기치유형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슬라임 형성 호염 박테리아, 염화물고정용 이중 층수산화물 등 신규 플러그인 기술을 적용한 자기치유 콘크리트 기술 개발 ◼ 2단계 ❏ 목표 자기치유 콘크리트 제품 개발 및 Test-bed 구축 ❏ 내용 – Pilot 규모의 치유 소재 대량 제조기술 및 품질관리 기술 –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자기치유 소재 혼입에 따른 물성 및 성능 검토 – 자기치유 보수재 및 코팅재 제조기술 및 치유성능 평가 – 플러그인 기술과 자기치유의 융합을 위한 하이브리드형 자기치유 기술 개발 – 자기치유 소재별 DB확보 및 자기치유 소재의 최적 혼입율 결정 ◼ 3단계 ❏ 목표 자기치유 콘크리트 시공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 ❏ 내용 – 구조물의 요구성능 만족을 위한 성능맞춤형 자기치유 콘크리트 배합설계 기술 개발 – 자기치유 콘크리트 Test-bed 및 현장 적용 – 자기치유 콘크리트와 보수재 및 코팅재 시공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 –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치유성능 평가방법 정립 및 표준화 □ 연구개발성과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방안 : 지하 및 수리구조물, 원전구조물 등 유지보수가 힘든 콘크리트 구조물에 활용 : 교량, 도로 등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이뤄지는 사회기반시설물에 활용 : 오폐수처리장 및 하수암거 등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시설물에 활용 : 콘크리트 시공 및 PC 제작ž운반 과정에서 유발되는 초기 균열 관리에 활용 – 기대효과 : 국가 기반시설 및 대형 구조물의 사회인프라 유지비용의 절감 : 자기치유 기술의 해외기술 의존도 해소 및 해외건설시장 수주 경쟁력 강화 : 건설재료의 개념을 확장함에 따라 건설재료 신규시장 창출 및 선도 가능 : 건설 신소재 기술 개발로 전문인력 양성 및 관련 분야 고용 증진 (출처 : 요약문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