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아토피피부염 치료를 위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파마바이오틱스 발굴 및 실용화 기반 구축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울산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본 연구팀은 기 발굴 파마바이오틱스를 이용하여 in vitro, in vivo연구를 통해 기전을 규명하고, 단백체 그리고 대사체의 변화를 확인하고자함 • 파마바이오틱스 후보의 규명을 위한 배양조건 및 방법 최적화를 연구할 것임 • 인체 유래물을 바탕으로 인체의 장,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와 인체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multi-omics 분석으로 확인하고자 함 • 또한, 인체 유래물에서 새로운 파마바이오틱스 후보를 발굴하기 위해 분석, 난배양성 균주 배양방법 수립의 과정을 거칠 것임 • 이를 통해 효능이 검증된 파마바이오틱스의 분자생물학적/면역학적 기전을 규명하고, 효능과 기전이 규명된 파마바이오틱스는 안전성검증 및 최적화를 통한 실용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 인체유래물 수집을 통해 분변 총 399명, 스킨 스왑 130명의 샘플을 확보하여 2세부에 전달하였음 • 전사체 분석은 총 155명이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PTGR2를 비롯한 5개의 유전자를 발굴함. 또한, 마이크로바이옴과의 multi-omics 분석은 107명에서 시도 되었으며 질환연관성 유전자 7개를 발굴하여 총 12개의 유전자 마커 후보를 발굴 함 • 사람 세포주에서 파마바이오틱스 후보물질 처리하여 아토피피부염 연관 다양한 cytokine의 변화를 확인하였음 • 인체 유래물을 통해 369명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였고, 신규 파마바이오틱스 후보 균주 5종을 발굴하였으며,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에 87명 분석 진행 중임 • 파마바이오틱스 후보를 처리한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영향을 분석하였음 • 사람 세포주에 파마바이오틱스 적용 후 전사체 분석을 위한 실험 및 방법을 정립하고 균주 RNA 추출 및 Sequencing 진행 중 • 난배양성 균주에 대한 유전체 분석 및 배양 조건 탐색하여 분리 배양 중임 ■ 아토피피부염에 파마바이오틱스가 주는 정확한 효능 검증을 위하여 기전이 다른 다섯 종류의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을 확립하고 최적화함 ■ 환자 유래 후보 파마바이오틱스의 아토피피부염 증상 완화 효능을 확인함 ■ 효능 검증 실험에 성체뿐 아니라 추가로 교배 상태에서부터 실험을 시작하고, 이유시기의 장내환경을 고려하여 다당류 식이 공급 실험을 설계함으로서 환자의 아토피피부염 발생환경과 최대한 유사한 조건에서 효능 평가를 수행 중임 ■ 파마바이오틱스가 생성하는 물질에 의해 면역세포의 활성화, 면역 세포 분화, 면역세포 특정 유전자 발현 등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기능을 면역학적 분자생물학적으로 분석함 • 파마바이오틱스 후보의 대량 배양, 혐기발효 최적화, 영양원별 유기산 발효성분 분석을 완료와 PhaMO 후보 균주에 대한 단백체 전처리 조건을 확립 • Ruminococcus gnavus ATCC 29149의 전장유전체 해독완료 • Akkermansia muciniphila ATCC BAA-835 균주에 대한 defined medium을 base로 혐기배양조건 확립 및 유기산 발효 생산물을 확인 • PhaMO후보 균주에 영양원에 따른 단백체 비교로 R. gnavus 균주의 총 183개의 단백질 목록을 확보, A. muciniphila의 경우 409개의 단백질 정보를 확보 • 파마바이오틱스 후보의 분비대사체,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 및 인간 장세포주에서 파마바이오틱스를 투여로 유도되는 대사체 프로화일 변화분석을 통하여 아토피피부염 연관 대사체로써 linoleic acid hydroxylation 연관 경로가 관여함을 확인 •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정상인 총 107 명의 혈장 및 42명의 분변에서 SCFA 및 non-target 대사체 프로화일 분석을 통하여 아토피피부염과 연관된 대사물질 27 종을 확인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Gut-skin axis 기전 규명을 통하여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아토피피부염 분야의 국제적 연구 능력 선점 가능 • 파마바이오틱스 실용화 기반 구축을 통해 활용한 제약 및 식품보조 산업 활성화 가능 • 파마바이오틱스 시장 활성화로 국가 제약/보건 산업 분야 발전 및 국제 경쟁력 강화 • 아토피피부염 치료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 절감 가능 • 파마바이오틱스 기전 규명은 여러 염증성 면역질환의 기전 연구와 그 치료에 확대 활용 가능함 • 장내 절대혐기성 균주의 단백체 DB는 국내외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필수한 기반 지식을 제공 (출처 : 요약문 5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6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