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무척추 재생연구 모델시스템을 이용한 기관재생 및 재생아 세포의 분자조절기작 구명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충북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도입하는 무척추동물 비교 재생모델 시스템으로 Perionyx 초기 재생과정과 leech의 발생 과정 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발굴하고, 발현 및 기능을 분석하여 입체적인 신호전달체계를 구명하는 매우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과제로서 비교 재생모델 시스템은 기본적인 발생과정의 이해를 토대로 발생진화학(evo-devo)의 유기적인 융복합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미래 전략 학문분야로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성과를 도출하였음. 1) 신경분화 연관 유전자들은 neurotransmission분류군에 7개의 유전자, neural network분류군에 5개의 유전자 그리고 brain morphogenesis differentiation 분류군에 3개의 유전자를 동정하였음. 또한 재생연관유전자들은 총 18개의 유전자를 동정 2)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재생 특이 database를 구축 3) de nove assembly분석 후 GO분석을 통하여 재생특이유전자 발굴 4) 재생 특이 유전자인 체절형성유전자의 시공간적 발현양상 연구 5) 선별된 후보유전자의 기능 상실(loss-of-function) 및 기능 획득(gain-of-function) 위한 construct구축 6) 비교모델시스템인 leech를 대상으로 구축된 재생특이유전자의 과발현 유전자 미세주입 실험 진행 7) 재생 특이유전자인 Hox유전자의 transgenic leech구축 및 Cas9 미세주입실험 진행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는 단편적인 동물의 재생과정의 구명이 아닌 주요재생기관과 발생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재생특이 유전자 및 신호 전달기작들이 정상적인 발생과정에서 어떠한 중요한 연관관계를 있는지를 구명하는 토대를 바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등동물들의 기관재생, 신경 퇴행성 관련 질환, 불임, 줄기 세포분화기작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과제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Perionyx-leech 모델시스템은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간의 developmental evolutionary Gap을 연결해줄 수 있는 중요한 연구모델로서 다양한 척추동물모델 및 줄기세포분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응용기술의 개발을 위한 시금석이 될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1460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