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원예작물 주요 대사체 라이브러리 구축 및 생리장해 증상에 따른 대사체 프로파일링 ○ 원예작물 품종에 따른 수확 후 대사체 프로파일링 및 유전육종 연계 품질 향상 연구 ○ 원예작물 수확 후 숙성 및 노화에 따른 대사체프로파일링 연구 ○ 원예작물 수확 후 신선도/품질유지를 위한 저장 기술 연구 ○ 오믹스(대사체, 전사체) 기술 이용 친환경 고농도 이산화탄소 유도 신선 농산물 저항성 기작 구명 및 이를 활용한 농산물 유통선진화 연구 ○ 이산화탄소 이용 식물의(수확 후) 신기작 구명 및 활용 방안 모색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본 연구는 단순히 이산화탄소로 유도되는 세포내 저항성 기작을 밝히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요 이슈가 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즉 Carbon Capture & Storage(CCS)'를 농업 분야에서 활용하여 녹색 기술 및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제안 ○ 해당 아이디어는 아직까지 한 번도 시도 된 바 없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것으로 농업 분야와 탄소자원화를 위해 연구하는 타 학문 분야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실험적인 것임 ○ 본 연구는 는 향후 크게 2 가지의 파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첫 번째는 기초 과학 연구 결과로 이미 잘 알려진 광합성이외의 식물 세포내의 새로운 이산화탄소 반응 생리 기작을 밝힘으로써 이산화탄소를 잘 이용하는 작물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임. 즉, 이산화탄소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찾고 이를 이용한다면 수확 후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는 작물 개발이 가능하고, 농산물 유통 및 수출시의 신선도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 개발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임 ○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반응 유전자 탐색 및 기작 연구를 위해 다양한 오믹스(Omics) 기술, 즉 대사체학(Metabolomics), 전사체학(Transcriptomics)등을 활용으로 연구를 진행함 ○ 두 번째는 응용 및 농업 산업에 관련된 연구 결과로 농산물 유통·수출 시 사용하고 있는 각종 화학물질을 대체할 친환경 신선도 유지 기술 개발 및 적용임. 메틸브로마이드, 오존 등 다양한 기술이 농산물 유통 현장에 적용이 되고 있지만 안정성 논란이 계속 되고 있어 이들을 대체할 기술 개발로 활용이 가능함 ○ 본 연구의 독창성은 위와 같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농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적용하는데 있음. 향후 도출된 연구 결과는 농업 분야의 “기초+응용+산업화”에 모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체계적인 기초연구가 부족한 국내 수확 관리 분야 연구가 향후 genomic, proteonomic, metabolomic 차원에서 연구가 가능할 것임 ○ 본 연구의 독창성은 위와 같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농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적용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도출된 연구 결과는 농업 분야의 “기초+응용+산업화”에 모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