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탄소저감형 종이 제조공정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인쇄용지 제조에 있어서 탄소를 포함하는 유기물 자원인 목재섬유의 사용량을 20% 이상 탄산칼슘으로 대체하여 줄이며, 인쇄용지 중량의 50% 이상을 탄산칼슘을 사용하여 인쇄용지를 제조하되 인쇄용지로서의 필수적인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종이제조기술을 개발하는데 있다. 목표가 달성되면, 목재의 사용량을 줄임으로 나무를 이산화탄소 축적에 사용하며, 종이 생산비를 20% 이상 절감하고, 건조에너지를 줄임으로 화석연료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인쇄용지 제조에 있어서 목재섬유 사용량을 30% 줄일 수 있음을 실험실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장효과가 인쇄용지 톤당 0.9톤의 이산화탕소를 저감시킬 수 있음을 미국 EPA 의 WARM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인쇄용지의 60% 중량을 탄산칼슘으로 대체하고, 종이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실험실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이에 따른 생산비 절감효과가 톤당 약 15만원에 이를 수 있음을 산출하였다. 동시에 60%의 탄산칼슘을 사용함으로서 목재섬유 대비 건조에너지의 감소가 예견되며, 산업현장에서 화석에너지의 저감이 확실시 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제지공장 현장에서 확증될 필요가 있고, 경제성을 획득함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에 수출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 될 필요가 있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현재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배출 문제와 자원의 고갈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은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공약을 세계에 천명하였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원자력발전이 감소함에 따라 더 많은 이산화탄소 저감 정책이 절실해지고 있다. 목재자원은 거의 없는 현실에서 국내 제지산업은 고지위주의 저가 포장용지 생산이 주를 이루고, 화학펄프를 사용하는 백상지류는 사업성을 잃고 조만간 몰락을 예상하는 가운데 있다. 본 연구는 인쇄용지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펄프의 사용량을 줄이고, 제지공정중에서 건조에너지와 고해에너지를 줄임으로서 자원의 절약, 이산화탄소 축적 및 화석연료의 사용량절감을 시도하고 있으며, 실험실적으로 달성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종이 생산비를 현저히 줄임으로서 경제성을 확보하며, 기존의 제지설비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서 기술의 이전에 큰 어려움이 없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제지산업에 성공적으로 적용되면, 한국은 퇴색해가는 제지산업을 다시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를 얻게 될 것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