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요 원반종족 행성상 성운들은 은하 원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태양정도 (1-6 M◉) 별이 진화한 천체이다. 따라서 원반종족 행성상 성운들의 화학원소는 진화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원소와 생성당시의 화학적인 산물(primordial elements)들을 알 수 있게 한다. 연구에 사용된 고분산 분광선 윤곽은 또한 성운가스의 운동학적 특성을 알려주고, AGB(점근거성열) 별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성간으로 팽창하는지를 알게 한다. 우리는 질량이 1 M◉정도인 별이 진화한 행성상 성운의 화학원소를 구하였고, 비교적 질량이 약간 큰 4-5 M◉별에서 진화하여 백색왜성 중심별 주위에 여러 층의 성운을 가진 공생별의 double-Gaussian profile을 연구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보현산 천문대 1.8m망원경의 BOES나 미국 Lick 천문대 3m 중형망원경의 HES분광기, 하와이에 있는 Keck천문대와 Subaru천문대의 구경 10m - 8m 대형망원경에 부착된 HRS와 HDS 고분산 분광기를 사용하여 관측한 원반종족 행성상 성운 자료를 분석하여, (1) 화학 원소 분석 및 중성자 포획원소의 존재 확인 및 기원 연구, (2)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이 post-AGB에서 행성상 성운으로 진화하는 과정, (3) 행성상 성운의 진화가 우리은하 원반의 화학적 진화에 준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고분산 분광 자료 분석을 통해 (1) 행성상 성운 J900의 선세기와 선윤곽 분석에서 여러 희귀 화학원소와 중성자 포획 원소를 발견하여 MNRAS, JKAS에 발표하였고, (2) 별탄생시 행성상 성운의 모 별보다 질량이 약간 큰 별의 post-AGB 단계를 거쳐 진화한 공생별 AG Peg의 선윤곽을 분석해 MNRAS에 발표하였다. (3) 또한 하와이 Subaru 천문대 8m망원경의 관측 시간을 확보하여 NGC 7662, NGC 7027의 관측을 진행하였다. (4) NGC 7009등의 연구 결과는 AJ학술지에 제출하여 논문심사가 진행 중이다.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보현산천문대 BOES로 분석한 행성상 성운 J900의 분광자료 분석에서 중성자 포획원소 분광선을 발견하였다. 중심별의 질량이 작은 행성상 성운에서 발견된 중성자 포획원소들은 지금까지 3 M◉이상인 별의 AGB 진화단계에서만 가능하리라는 기존의 학설과는 상당히 다른 결과이다. 보현산천문대 1.8m에 부착된 BOES로 중성자포획반응 원소를 발견한 것은 이 분야 미래 연구의 앞길에 서광이 비추는 것으로 비유될 만하다. 이와 더불어 쌍성으로부터 진화하여 백색왜성을 가지고 있는 공생별인 AG Peg의 백색왜성주위의 가스 유입 강착원반과 양극 콘(bipolar cone)의 형성이, X-ray, UV, 가시광 영역의 다파장 관측 현상을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됨을 증명하였다. 이 구조는 또한 우주의 가속팽창연구에서 중요시 되는 제1형 초신성의 기원에 대해 명확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출처 : 요 약 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