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나노섬유 생산과 응용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2-24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정경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strong>1. 서론</strong><br /> <br /> 나노섬유(nanofiber)는 단면 직경이 수십~수백 nm이며, 비표면적이 매우 큰 나노물질의 일종이다. 나노섬유는 매우 다공성의 그물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기공 간 상호연결성이 매우 뛰어나고 무기물과 상용성도 우수하다. 나노섬유는 나노 크기의 물질 자체가 가지는 독특한 물리화학적 성질뿐만 아니라, 원료의 종류와 생산방법에 따라서도 그 물성과 활용 범위가 다양하게 세분화될 수 있다. 나노섬유의 원료로는 천연고분자, 합성고분자, 탄소 나노물질, 반도체 나노물질, 복합재 나노물질 등이 있다. 현재 나노섬유를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 자기조립법(self-assembly), 주형 합성법(template-based synthesis), 고분자 합성법(polymerization), 초음파 화학합성(sono-chemical synthesis) 등이 있다. 최근에는 기존 나노섬유 생산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생산법이 개발되고 있다: CO2 레이저 초음속 연신법(CO2 laser supersonic drawing, CLSD), 용액 분사 방적(solution blow spinning, SBS), 플라즈마 유도 합성(plasma-induced synthesis), 원심 제트 방사(centrifugal jet spinning, CJS), 전기수력학적 직접 인쇄(electrohydrodynamic direct writing, EHD) 등이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현재 나노섬유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전기방사 시스템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다루고자 한다. 이렇게 생산된 나노섬유는 크게 에너지, 환경, 의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 생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응용 사례 연구를 통해서 나노섬유의 산업적 적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br /> <br /> <strong>**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strong>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4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