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빛을 활용한 약물의 정밀 방출제어를 통해 전이성 폐암에 대한 정확한 조기 진단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극대화 된 표적치료가 가능한 융합 항암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것임. 이를 위해서 새로운 항암 표적 치료기술인 광역동치료 (Photodynamic therapy)와 광열치료 (Photothermal therapy)기술을 정밀 방출제어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하며, 광역동치료를 위한 광감각제 (Photosensitizer)와 항암 치료효능 극대화를 위한 저분자 항암제로 구성된 병용운반체를 암 표적 및 방출 제어가 가능한 나노입자기반의 약물전달시스템에 봉입하여 전이성 폐암에 대한 최적의 항암 융합형 치료기반기술 구축에 활용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차년도 연구목표인 광기반 치료기술을 위한 종양 표적형 나노입자 설계를 위해 광역동 치료 및 항암 화학요법을 위한 저분자화합물 기반의 병용운반체를 합성하였으며, 이것을 안정적으로 봉입하여 종양부위에 표적전달하며 광열치료가 가능한 금 나노입자를 둘러싼 다공성 실리카소재 나노구조체를 설계 및 제작하여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음. 2 차년도 연구목표인 나노복합체 구성 및 방출제어 효능평가를 위해서는 나노구조체 표면에 종양표적인자를 도입하여 폐암 표적 전달효능을 증대시켰으며, 생체적용을 위해 최적화시킴. 또한 병용운반체를 나노구조체에 안정적으로 봉입하여 특정 파장대 (808nm)에서 금 나노입자에 의한 온도 증가 및 산화환원 반응과 특정 효소에 의해 저분자화합물 기반 병용운반체가 정밀 방출되는 조건을 확립함. 그리고 이를 평가하기 위해 나노복합체의 구조 변화를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평가함. 3 차년도 연구목표인 광기반 방출제어를 통한 항암 유효성 평가를 위해 최적의 전이성 폐암 유발 세포주를 선별하여 배양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전이성 폐암치료를 위해 광역동 및 광열치료기술과 저분자화합물 기반 항암 화학요법제를 하나의 나노입자에 융합한 최신의 항암치료기술로써, 이로부터 얻어진 광기반 정밀 약물방출 및 표적 제어기술 연구자료는 향후 암 치료기술개발의 기반기술로 널리 활용 가능하며, 획기적인 암치료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됨. 또한 질환 표적형 항암 치료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반기술이기 때문에 다른 질환의 치료기술에도 적용 가능하며, 나노의약품 기반기술로 활용 가능함.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신약 후보물질 발굴 등의 신약개발에는 오랜 시간과 큰 투자비용에 필요하지만, 질환표적 융합 항암치료기술은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로 상업화에 용이하고 원천기술 확보에 유리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