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난용성 및 친수성 약물의 생체이용률 향상 및 효능 지속성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 연구의 목적 • 저분자 메틸셀룰로오즈의 최적의 분자량(8.5 kDa) 확립을 위한 분리 정제 최적화. Surfactant-free 난용성 항암제(docetaxel, etoposide) 가용화를 통해 신규 무독성 항암제 가용화 플랫폼 기술개발 • 담즙산 유도체 장관막 흡수촉진제를 이용하여 경구 생체이용률이 향상된 제형을 설계한 후 다양한 항암 평가 모델을 통해 면역치료와의 병용투여 시너지 효과를 입증하여 주사용 항암제의 경구 약물전달 신 플랫폼 기술개발 • 임상적 적용이 가능한 최종 주사/경구용 제형 설계 및 비임상 효능 및 안전성을 입증하여 국내, 외 제약사에 기술이전을 통한 상용화를 목표로 함 2. 연구의 내용 • 저분자 메틸셀룰로오즈 기반 난용성 항암제 가용화 기술 개발 (1) 선행 예비 Non-GLP 독성 연구를 통해 유효하고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 8.5kDa 저분자 메틸셀룰로오즈의 제조 및 대량 생산법 확립 후 설치류 단회 및 반복투여 독성연구. (2) 저분자 메틸셀룰로오즈 기반 가용화 기술을 통해 BCS class Ⅳ에 속하는 주사용 항암제를 경구투여 제제로 개발. (3)암세포 내에서 세포 사멸과 관계된 신호 인자들의 발현기작 연구. (4)In vitro 및 In vivo 단계에서 항암 효과를 입증하고 치료제의 생체 적합성 및 독성 평가. (5)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후속연구로서 가용화 제제의 GLP 독성 시험 진행 및 식약처 Pre-IND meeting 진행을 통해 제품 상용화 진행을 목표로 함. • 담즙산 유도체 장관막 흡수촉진제 기반 경구 항암제 개발 및 면역치료 병용 투여요법 개발 (1) 담즙산 유도체 장관막 흡수촉진제를 이용한 차세대 오라스커버리 (주사용 항암제를 경구용으로 전환하는 기반기술)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2) 선행연구를 통해서 확립한 담즙산 유도체 장관막 흡수 촉진제를 BCS class Ⅲ 항암제에 적용하여 경구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 제형을 설계함. (3) 면역치료(항PD-1 항체)와의 병용투여 시너지 효과를 입증하고 면역치료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경구 항암제의 투여 용법/용량을 최적화 시키는 방법을 확보. (4) 임상적 적용이 가능한 최종 경구용 제형 설계 및 비임상 효능 및 안전성을 입증하여 국내, 외 제약사에 기술이전을 통한 상용화를 목표로 함. 연구개발성과 1. Surfactant-free 신규 무독성 난용성 항암제 가용화 제제 개발 • 난용성 약물 가용화 기술 개발. 단가가 낮고 여러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천연유래 고분자인 메틸세룰로오즈만을 사용하여 기존 의약품 대비 독성도 없고 낮은 생산 비용 가용화 기술 개발. • 난용성 항암제 도세탁셀과 에토포사이드에 주사용 제제 개발 후 항암효과 및 무독성 제형 개발 2. 세계 최초 장관막 수용체 특이적 경구흡수증진 약물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경구 항암 제제 개발 • 담즙산 유도체 장관막 흡수촉진제(DCK)를 이용하여 주사용 항암제인 옥살리 플라틴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917% 향상(소동물 경구 생체이용률: 26.0 ± 5.19%)시킨 경구 약물전달 제형 개발 • 담즙산 유도체 경구 흡수촉진제(DCK)를 이용하여 주사용 항암제인 페메트렉시드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394% 향상(소동물 경구 생체이용률: 19.8 ± 6.93%)시킨 경구 약물전달 제형 개발 3. 정성적 연구개발 성과 • SCI급 전문학술지 논문개제: 10 건 • 지식재산권: 국내특허 출원 2 건, 해외특허(PCT) 출원 3 건, 국내특허 등록 2 건, 해외특허 등록 1 건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1) 저분자 메틸셀룰로오즈를 사용함으로서 저렴하고 다양한 난용성 약물의 전달 시스템 개발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 (2) 기존의 부형제가 사용된 계면활성제 및 합성고분자로 이루어진 약물전달체와 비교하여 생체적합성 및 체내안전성 우수한 제제 개발 가능. (3) 장기간의 서방성 경구투여 제제에 적합하며, 환자의 편의성이 높으며 개발비용이 낮으므로 효율적인 약물 전달체로서 매우 유용하리라 기대함. (4) 담즙산 유도체 장관막 흡수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약물의 투과도를 개선하여 획기적인 경구투여 제제 개발 전망 • 지속형 유지요법에서 경구 항암제를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편의성 증대, 잦은 정맥투여에 의한 부작용 및 필요한 부대비용의 감소, 환자의 삶의 질 향상, 장기 복용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약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음. • 면역치료(항PD-1 항체)와의 병용투여 시너지 효과를 입증하고 면역치료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경구 항암제의 투여 용법/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확보하여 임상에서 독성과 부작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약물의 적정 용량을 예측 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96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