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개요 파이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은 식물로부터 유래한 이차대사산물 중 인체 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작용하여 agonist 또는 antagonist로 작용하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쿠메스탄(coumestan) 계열의 화합물들이 주요한 파이토에스트로겐으로 분류되며, 이소플라보노이드 및 쿠메스탄은 각각 이소플라본(isoflavone) 및 쿠메스트롤(coumestrol)의 형태로 콩과 식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파이토에스트로겐 중 장내에서 분자 화학적 성질이 변하여 인체 내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보이는 이소플라본 및 그 유도체인 에쿠올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인간의 섭식 활동으로 장내 환경에 노출된 파이토에스트로겐은 장내 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미생물총(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들의 대사 활동에 의해 분해 또는 변형됨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사례는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daidzein) 또는 제니스테인(genistein)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주요한 대사산물인 에쿠올(equol)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보다 선택적으로 강하게 결합하여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agonist 또는 antagonist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이 규명되었다. 에쿠올은 또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 의해 생성되는 자연계 유래 천연물이라는 점과, 체내 에쿠올의 농도가 여성의 갱년기 증상 완화와 직접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증명됨에 따라 그 중요성 및 실용성이 강조되어왔다. 본 보고서에서는 구체적으로 에쿠올을 생합성하는 장내미생물 및 재조합 미생물을 소개함과 동시에 부차적으로 합성된다고 알려진 수산화에쿠올의 생리활성 기능 및 합성효소에 대해 소개하겠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