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기후변화, 환경요인 등에 의하여 열화된 도로시설물에 기존의 시멘트계 보수재료가 아닌 고내구성, 저투수성, 고탄성의 특성을 가진 유무기계 하이브리드 유지보수재료를 적용함으로써, 도로시설물의 공학적 성질 개선, 내구수명 연장, 유지보수 비용절감 등 통합적 성능향상을 위한 신개념 보수재료 개발이 본 과제의 최종목표이다. □ 연구개발 내용 1. 도로시설물의 내구수명 향상을 위한 고탄성, 고내구성 유무기 복합재료 원천기술개발 - 도로시설물의 기후변화에 따른 열화원인 정립 - 유무기 하이브리드 유지보수재료의 최적 배합설계 - 고탄성 유지보수재료의 역학적 성능(인장, 압축, 부착강도 등) 평가 - 기개발된 보수재료와의 성능비교 2. 고탄성, 고내구성 유무기 복합 유지관리 재료의 도로시설물 적용기술 개발 - 고탄성 유지보수재료의 내염성, 내화학성 평가 - 동결융해 저항성, 스케일링 저항성 등 온도 및 기후변화에 따른 유지보수재료의 성능 평가 - 유지보수재료와 콘크리트의 부착성능 평가 - 현장폭로 실험 및 현장 적용성 평가 □ 연구개발성과 - 고탄성 하이브리드 유지보수재료 배합설계 기술 개발 - 도로시설물의 열화요인에 대응하는 균열저감형 유지보수재료 원천기술 개발 - 개발된 유지보수재료에 대한 D/B 구축 - 개발된 제품의 현장 적용성 및 실용화 기술 개발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유지보수재료의 고성능화에 따른 도로시설물의 장수명화 설계 기술 - 도로시설물의 내구연한 증진으로 의한 유지보수비용 절감효과 - 고탄성, 고내구성 유무기 복합재료의 보수재 기술개발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우위 선점 및 국가 기술 경쟁력 강화 효과 - 도로시설물의 품질향상에 따른 도로 사용자의 만족도 증가 (출처 : 국문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