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배추 식물체 유래 항암 백신 후보물질의 생산 및 식물유래 백신단백질 투여 극대화를 위한 원천기술 개발 연구개발성과 ○ 식물기반 대장암의 예방 목적 융합백신단백질 생산을 위한 4차 거대분자 형태의 구조조절 시스템 도입 및 항원 제시세포 유도조절 시스템 개발 - 다양한 형태의 EpCAM-Fc 식물형질전환 벡터 구축 - 담배 식물을 이용한 항원-항체 융합 단백질 발현 system 개발 - 형질전환 담배 식물에서 융합백신단백질 정제 및 정제된 백신단백질의 당구조 분석 항원-항체 상호작용 및 융합백신단백질 구조 분석 ○ EpCAM 항원을 이용한 융합백신단백질을 생산하는 모델식물(담배)을 활용하여 대장암 종양을 예방 할 수 있는 기반 기술 개발 - 형질전환 담배 식물에서 융합백신단백질 정제를 통한 실용성 검증 - 모델식물(담배)을 이용한 대장암 종양연관항원(Tumor Associated Antigen, TAA) 백신의 최적화 투여 경로 탐색 및 항원 투여경로에 따른 특성 규명 - 식물유래 융합백신단백질의 면역반응 조건 확립 ○ 식물기반 대장암의 예방 목적인 융합백신단백질 생산을 위한 배추 형질전환 및 4차 거대분자 형태의 백신 발현 배추식물 개발 - 배추 식물을 이용한 항원-항체 융합 단백질 발현 system 개발 - 배추를 이용한 형질전환 및 융합백신단백질을 생산하는 homozygous 배추 형질전환체 확보 ○ 배추를 이용한 실용화 시스템 구축 - 배추를 이용한 형질전환 및 거대분자 융합백신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체 확보 - 배추를 이용한 형질전환 및 거대분자 융합백신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체 seed 확보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원예작물 유래 대장암 백신 후보물질의 항암치료법 개발을 통한 차세대 백신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 확립. ○ 면역부작용 및 allergy 반응의 요인이 제거된 안전한 식물발현시스템을 확보함으로써 다른 의료용 단백질 당구조 개선에 활용. ○ 다양한 암 예방용 항체 뿐 만 아니라 여러 전염병 항체의 단백질 및 당 구조 인간화를 위한 식물생산 최적화시스템 기반 기술 확보효과. ○ IgA 혹은 IgM Fc를 이용하여 vaccine fusion protein을 개발하여, 원예작물을 통한 단백질의 발현 안정성과 백신의 기능 개선에 활용 ○ Total soluble protein(TSP) 함량이 높은 원예작물을 이용하여 edible vaccine(먹는 백신), patch(붙이는 백신), cell vaccine(세포 백신) 등 여러 형태의 예방 백신용으로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단백질 구조, 당구 조 변경을 통해 면역성을 높이게 되면 적은 양으로도 예방 효과가 높은 원예작물 유래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임 (출처 : 국문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