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배 화산 품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체 관리 및 수확적기 판정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화산 배의 수확기 판정을 위한 세포학적 관찰 - 표피변화: 만개후 28일부터 코르크층 형성, 만개후 60일경부터 세포분열 정지, 세포비대기 시작 - 세포크기 및 세포와 간극의 비율 변화: 생육시기가 진전될수록 세포크기 증가, 만개 119일경부터 면적당 세포의 비율 감소, 만개 후 133일에 간극의 비율이 10% 이상으로 넓어짐 ○ 배 화산의 수확적기 판정을 위한 모델식 개발 - 기상요인을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 모델식으로 실측 수확일과 예측수확일과의 편차가 2일 이내의 수확기 판정이 가능함 - 추정식 Y=210.291+0.0602 X1-0.1386 X2+0.0784 X3(R2=0.880) X1 : 만개 후 31일부터 60일까지의 평균기온, X2 : 만개 후 31일부터 60일까지의 최고기온, X3 : 만개 후 61일부터 90일까지의 일조시간 ○ 배 화산의 안정수량 확보 및 품질향상을 위한 결과지 갱신 요령 - 화산은 결과지 지령이 높아질수록 단과지 유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결과지 지령 4년차에 2년생 예비지 확보 - 예비지는 3월경 수직에서 60∼65° 정도 사립으로 꺾이지 않게 유인 - 이듬해 3월(출뢰기) 이전에 유인하고 묵은 결과지 갱신 ○ 배 화산의 안정수량 확보를 위한 무착엽과의 과실특성 구명 - 평균과중이 정상과 593g에서 무착엽과 559g과 크게 차이 없고, 당도는 12.8°Bx로 차이가 없으며, 산도에서도 차이 없음 - '화산' 무착엽과의 경우, 신고 대비 75∼80% 수준까지 생산성 향상 ○ 배 신품종 확대 보급을 위한 고접갱신법 개발 - 배 등 과수의 고접은 품종갱신, 수분수 고접, 측지 확보를 위해 실시 ·수량 증대 : 2,430kg/10a → 2,930(▽15%) - 접목시간의 단축(개): 2.8배 효과 (관행 8분04초→개발기술 2분37초) ○ 배 과수원 생육 후기 질산칼슘 엽면살포 주의 - 배 과원 생육후기(9월) 질산칼슘 엽면살포 자제로 과피오염 발생 24.1% 및 낙과율 28.4% 감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435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