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발 목표 기 구축된 측위용 인프라 DB를 사용자 참여형으로 성능저하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 기반의 측위 인프라 DB 자동갱신 기술 개발 연구개발 내용 □ 측위 인프라 정보 수집 기술 ▪ 카트기반 영상지원 측위인프라 정보 수집 장비 개발 □ 측위 인프라 DB 자동 갱신 지원 LBS 플랫폼 기술 ▪ 측위 인프라 DB 생성 기술 개발 ▪ 사용자 제공정보의 위치정확도 향상을 위한 복합위치인식 기술 개발 ▪ 사용자 참여형의 정확한 측위인프라 DB 자동 갱신 기술 개발 ▪ 영상기반 측위 플랫폼 구축 및 활용 기술 개발 □ 사용자 참여형 어플리케이션 개발 ▪ 측위 검증용 매쉬업 App 개발 ▪ 사용자 갱신용 매쉬업 App 개발 □ 측위 인프라 DB 자동 갱신 지원 LBS 플랫폼의 검증 및 활용 방안 연구 ▪ 연차별 실증 사이트 검증 ▪ 국토부/방통위 구축 실내공간정보 및 측위 인프라DB 활용 기술 연구개발성과(2차년도) □ 측위 인프라 정보 수집 기술 구현 및 단위 시험 - 비영상 측위 인프라 DB의 효율적인 수집을 위한 보행자 용 수집 어플리케이션 개발 - 측위 DB 생성에 필요한 4종의 측위 인프라 자동 수집 - 측위 인프라 정보 수집 기술 상세 설계 및 구현 - 측위 인프라 정보 수집 장비 제작 - 연구장비의 Feasibility 검증 □ 측위 인프라 DB 생성 기술 구현 및 단위 시험 - 측위 인프라DB 생성 기술 상세 설계 및 구현 - 4종 측위 인프라 자동 생성 시스템 현장 검증 (6개 현장 사이트) - 정확한 DB 생성을 위한 Wi-Fi와 블루투스 신호 특성 분석 □ 사용자 제공정보의 위치정확도 향상을 위한 복합위치인식 기술 구현 및 단위 시험 - 비영상(3D Opportunistic signal)기반 복합측위기술 설계/구현 - 비영상(3D Opportunistic signal)기반 복합측위기술 단위시험/검증 - 불규칙 보행자 운동 환경에 강인한 지자계 Heatmap 기반 측위기술 설계/검증 및 관련 측위 프로토콜 국제표준화 □ 사용자 참여형의 정확한 측위 인프라 DB 자동 갱신 기술 구현 - 측위 인프라DB 갱신 모듈 상세 설계 및 구현 - 사용자 이동경로의 재구성 및 사용자 참여형 데이터 품질 검증기능 구현 및 실환경 검증 □ 영상기반 측위 플랫폼 구축 및 활용 - ETRI 12동 및 실증사이트(방배역) 영상정보 수집 및 3D 모델링 - 영상기반 측위 DB를 위한 솔리드 이미지 생성 - 생성된 솔리드 이미지를 이용한 측위 성능 검증 - 영상기반 측위 DB 갱신 기술 기본 설계 □ 측위 검증용 메쉬업 App 구현 및 단위 시험 - 측위 검증용 메쉬업 App 화면설계 및 개발사양서 완료 - 측위 검증용 메쉬업 App 디자인 완료 - 측위 검증용 메쉬업 App 비영상기반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개발 □ 사용자 갱신용 메쉬업 App 설계 - 측위 갱신용 매쉬업 App 추가요구사항을 반영한 개발 사양서 완료 - 측위 Data 상관DB 검증 Web 관리자 화면개발 - 수집된 AP 간의 상관관계 DB 설계 및 그래프 시각화 □ 실증 사이트 검증 - 실내지도 Data 구조 분석 및 상세설계 - 실내지도 변환 프로그램 개발 - 6개 현장사이트에서 비영상 수집-측위DB 생성-측위 기능 및 성능 검증 □ 국토부/방통위 구축 실내공간정보 및 측위 인프라 DB 활용 기술 구현 - 국토부 실내공간정보 DB 스키마 분석 - 국토부/방통위 구축 실내공간정보 및 측위 인프라 DB 활용 기술상세 설계 및 구현 - 국토부 실내공간정보 DB 포맷 변환(shp to csf) 후 실증사이트 검증에 활용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본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측위 인프라 정보 수집 장비, 영상 기반측위 시스템, 차량/실내용 융합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며, 1차적으로 공공수요 측면에서 국토부/방통위에서 구축한 실증 사이트를 대상으로 운용/검증함으로써 공공기관의 계속 사업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확보할 계획임 □ 2차적으로 민간수요 측면에서 국내 대표 포털, 네비게이션 관련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영상과 측위 DB를 사용하여 빠른길안내 서비스, 스트리트뷰 서비스를 실내지역으로 확대 하는 서비스, 집에서 매장까지 길안내 서비스, 사용자 참여형 위치 기반 SNS서비스 등에 활용할 계획임 □ 최종적으로 본 개발 기술을 통해 반복적인 재수집에 따른 천문학적인 측위 인프라 DB 유지/보수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공 및 민간 측면에서 실내 측위 인프라 구축 및 LBS 사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