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세로토닌에 의한 심방세동에서 G 단백질-의존적 내향성 K+ 통로의 관여 가능성에 대한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건국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본 연구의 목적은 5-HT에 의한 심방세동 유발에 있어서 GIRK를 포함한 다양한 이온채널의 관여여부를 관찰하여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심방세동 치료를 위한 표적 이온채널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하였음. 첫째, GIRK 채널은 심박동수 조절에 필수적인 이온채널로, 5-HT의 심박동수 증가는 GIRK 채널의 기능변화에 기인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둘째, 심장에는 매우 다양한 5-HT 수용체가 존재하고 각각은 서로 다른 신호체계를 활성화 시키며, 특히 5-HT<sub>4</sub>R에 의한 cAMP-PKA 신호전달체계와 receptor에 의한 PLC-PIP2 신호체계는 GIRK 채널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5-HT의 GIRK 채널 조절가능성이 매우 높음. 셋째, 뉴런의 5-HT<sub>1A</sub>R은 직접 GIRK 채널을 활성화시키며, 활성화의 정도는 muscarinic m2 수용체보다 더 크다. 이처럼, 5-HT 수용체 아형에 따른 직, 간접적인 GIRK 채널에 대한 작용으로 보아 아직까지 그 기능을 잘 알지 못하는 심장 특이적 5-HT<sub>2</sub>R 아형의 GIRK 채널에 대한 조절작용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가 있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는 심방세포에서 5-HT에 의한 안정시막전압, 활동전압, 5-HT의 표적 이온채널, GIRK 전류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세포신호체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음. 본 연구를 통해 획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5-HT는 마우스 심방세포의 외향 K<sup>+</sup>전류를 증가시켰음. 또한 활동전압의 실패와 안정시막 전압의 과분극을 유도하였음. 또한 Ca<sup>2+</sup>전류의 감소를 유도하였음. -5-HT에 의한 K+전류 증가가 어떤 수용체 아형을 경유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5-HT4, 5-HT2 수용체의 억제제를 통해 확인한 결과 5-HT4 수용체 억제제는 5-HT에 의한 K<sup>+</sup>전류의 증가, Ca<sup>2+</sup>전류의 감소, 그리고 활동전압 및 안정식 막전압의 영향을 모두 상쇄시켰음. -또한 5-HT2수용체 억제제는 5-HT에 의한 외향전류의 증가를 일부 억제하였으나 다른 관찰변인에서 5-HT효과를 차단하지 못했음. 다음으로 5-HT4수용체 활성제를 처치한 결과 5-HT과 모두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5-HT에 의한 심방이온전류 변화는 5-HT4수용체가 주요 경로임을 확인함. -5-HT4수용체는 AMP가 주요 신호체계이기 때문에 AMP억제제를 처치하여 확인한 결과 5-HT에 의한 모든 관찰변인의 변화가 상쇄되었음. -심방에 주로 발현하는 Kv1.5채널의 억제제는 5-HT에 의한 외향전류이 증가를 차단하였으며, 5-HT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막 이동이 나타났음. -아세틸콜린으로 활성화된 GIRK전류는 5-HT에 의해 과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하였음. 5-HT는 주로 Kv1.5와 GIRK의 과활성화를 통해 심방부정맥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음.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더욱 다양한 세포신호체계 관찰을 통해 규명해야 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획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중요성을 갖고 있음. 첫째, 5-HT에 의한 심방세동은 다른 agonist와 다르게 다양한 K+ 채널을 경유하여 과분극을 유도하며, 이는 활동전압 생성 및 유지의 실패를 통해 심방활동성의 불균형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다고 보여짐. 이러한 결과는 높은 혈장 5-HT농도를 보이는 세로토닌신드롬 등에서 발현될 수 있는 심방세동의 표적 치료제 적용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음. 둘째, 5-HT 및 그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에 대한 심방세동 유발가능성의 스크리닝에 활용될 수 있음. 셋째, 선행연구에서 주로 제시한 Ca<sup>2+</sup> handling과 관련된 심방세동 기전이 아닌 K+전류 과활 성화에 의한 가능성을 제시함. 또한 현재 진행 중인 CaCl2+Ach 유도성 심방세동 동물모델에서 심방의 5-HT수용체의 과발현, 세포 신호체계 변화에 대한 규명을 통해 본 연구결과를 더욱 명확하게 하여 그 기전을 적용할 수 있음. 넷째, 현재까지 부정맥의 치료는 제세동의 사용과 조기진단, 그리고 항부정맥제제에 국한되어지고 있으나, 약물의 경우 부작용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의 결과가 본 연구자의 가설에 따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면 더욱 선택적인 항부정맥제제 개발에 기초자료와 기전을 제공할 수 있음. 다섯째, 심방에서 5-HT과 GIRK 채널, 그리고 심방세동을 포함한 부정맥의 연관성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기 때문에 심장학, 생리학 등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론적으로 새로운 연결고리를 제시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127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