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건강 보호 관리를 위한 장기 추적 코호트 시스템 구축 2.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건강 상태의 추적 및 정신 질환 이환율 조사 3. 성폭력 피해자에서 정신 건강 예측에 관한 코호트 모형 개발 4.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환경적 위험요인 규명 연구개발성과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건강 보호 관리를 위한 장기 추적 코호트 시스템을 1차년도에 구축하여 연구대상들의 자료들을 eCRF에 입력하였다. 2019년 8월 30일, 코호트 연구에 등록한 대상은 67명이고, 이중 중도 탈락자가 25명이어서 중도탈락율이 37.3%에 달한다. 현재 추적 중인 대상은 42명으로 유지율이 62.7% 이다. 코호트 시스템의 구축과 초기 등록 대상들의 특성과 정신질환 이환에 대한 논문 1편을 '정신신체의학'지에 게재하였으며(2019년 6월에 게재), 1년간의 추적을 완료한 대상 22명의 진단적 경과와 외상 증상의 추적 변화 및 치료 효과 등에 대한 자료 분석을 통하여 1편의 논문을 준비하여 투고 예정이다(논문제목 : One-year cohort follow up in diagnosis and post traumatic symptoms of CSA victims in Korea). 연구가 종료되는 2019년 8월 말 이후, 2년간 추적 관리된 대상들의 장기 추적을 통한 정신건강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에 따르는 위험 요인과 코호트 모형 개발을 수립할 예정임.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본 연구의 코호트 체계를 이용하여 아동 및 여성 성폭력 전문 기관인 해바라기 센터에 코호트 체계를 구축하기에 충분함. 또한 이 연구의 결과물로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코호트 사업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며, 해바라기 센터 치료 방식에 대한 근거 기반 및 치료 방향을 제시하고,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이고 포괄적인 치료 시스템을 축 할 수 있음. 따라서 여성가족부의 코호트 체계 구축을 제안함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