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제 1 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 제1절 연구 개발 목적 □ GM벼와 국내 벼 품종의 항 영양인자 평가 방법개발 □ GM벼와 관련된 국내 벼 품종의 항 영양인자를 조절하는 유전자 발굴 및 비교 분석 제2절 연구 개발의 필요성 ○ 국외에 GM작물 재배면적이 급속히 증가를 하고 있는 추세이며, 국내의 경우 GM작물 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국내의 경우 GM작물의 상업화 실적은 없으나 실용화 단계에 근접함에 따라 안정성 평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이를 통해 국민의 불안감 해소, 신뢰도 증대를 통해 실용화 촉진 기반을 조성할 것임. ○ 미국, 중국, 일본 등에서 제초제저항성, 해충저항성 등 GM작물의 실용화 확산 추세에 대응한 국내 GM작물 항 영양인자 및 2차 대사산물 검정이 필요함. ○ GM작물의 조기 실용화를 위해서는 식품안전성 평가를 통해 안전성을 입증 받아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독성 및 알레르기성 분석 자료가 요구됨에 따라 국내 개발된 GM 및 관련 품종에 대한 독성 및 알레르기성 DB구축이 필요한 실정임. ○ 현재 NGS최신기기로 NovaSeq 6000장비가 개발이 되었으며 최근 병원 내에서도 NGS기기를 도입해 target 유전자를 분석하여 진단을 하고 있음. ○ NGS기기를 통해 GM작물 및 관련품종의 항 영양인자, 알레르기성 분석을 하여 관련 gene marker를 개발하면 빠르고 정확한 DB를 구축 할 수 있을 것임. ○ 음식이나 사료에 포함되어있는 영양, 항 영양인자의 함유량이 중요함. GM작물 개발이 많이 되고 상용화되는 추세에 기존 작물과의 영양, 항 영양인자 함유량 DB 구축이 중요함. ○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항 영양인자 추출 분석 결과는 작물들이 자라는데 지역, 기후, 토양 등에 따라 결과데이터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추출하는 실험방법, 연구자에 따라 데이터 결과가 다름. 또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음. ○ 이를 보완하고자 빠르고 정확한 유전자 검사를 통하여 DB구축을 하고자 함. ○ 기존에 알려진 Sanger sequencing 방법은 실험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 및 그 응용성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분야에서 NGS 기술로 대체되고 있음. ○ NGS의 빠르고 정확한 기술을 이용하여 GM작물 및 관련 품종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항 영양인자 발현 량을 정확히 알 수 있음. 또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항 영양인자를 조절하는 새로운 유전자를 찾아 bio-marker를 만들 수 있음. (출처 : 본문 제1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