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바이오-연료 에너지 기술이 온실가스 저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10-10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김영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개요 바이오에너지(bioenergy, 혹은 바이오-연료 에너지)는 생물의 바이오매스(biomass)를 원료로 만든 에너지를 총칭한다. 동식물, 균류 등 생물유기물의 바이오매스를 고체, 액체, 기체의 형태의 바이오에너지로 전환하여 인류가 이용할 수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열 발전, 전기 생산, 가정용 에너지와 교통 수송용 연료로 사용이 가능한 화석연료의 대체재로 큰 장점을 가지나, 환경적, 경제적인 관점에서 단점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1]. 바이오에너지기술(bioenergy technology)은 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석유에서 추출 가능한 물질을 생산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2]. 이 기술로 생산된 바이오에너지는 석유계 연료에 비해 적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게 되어 대기환경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물론 바이오에너지 사용 시,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방출되나,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바이오매스 생장 시 대기로부터 흡수한 이산화탄소임을 고려해야 한다. 바이오매스의 생산은 지속적인 재생산성이 있어서, 화석연료의 채취, 사용과 같은 원료의 고갈 문제가 없다. 그러나 다량의 바이오매스 원료의 생산을 위해 동남아와 브라질의 산림지역의 파괴를 일으켜 바이오에너지의 부정적 효과가 부각되기도 한다[2]. 이와 같이 바이오에너지의 개발과 사용은 장단점이 존재하고, 이들 장단점의 균형 지점(trade off)이 있음을 상기하여야 한다. 어떤 사회, 자연 조건에서 바이오에너지가 대기 및 토지 오염, 기후변화, 육상/수상 생태계 보전, 식량의 공급 등과 같은 문제에 덜 민감한, 긍정적 효과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필요하다[1]. 본 보고서에서는 바이오에너지 사용이 미치는 중요 영향 중, 온실가스 배출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산업혁명 이후 급속도로 증가한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주목받아왔다. 자원 고갈의 문제가 없는 바이오에너지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이오에너지가 지구온난화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분명히 있다. 본론에서는 바이오에너지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이오에너지 원료와 생산 기술에 대해 알아보았고, 바이오에너지 개발이 환경에 미치는 장점과 단점, 바이오에너지가 온실가스 저감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래 바이오에너지 사용 예측에 대해 기술해보았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2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