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당초계획 신경펩타이드 SST의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인지 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후보물질 (단백질 기반 치료제) 확보 ◦ 포유류 피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신경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하여, 퇴행성 뇌질환 관련 뇌인지장애 치료에 획기적인 약물 개발 ◦ 생명과학-화학-나노과학-공학 전문 연구실의 기술 협력을 통하여 효과적인 연구 성과를 확보하고, 치매 치료제 및 뇌 인지 장애 치료용 바이오의약품의 후보물질 도출 및 비임상 개발 토대 마련 2) 수행 내역 ▸ 신경펩타이드 SST의 mode-of-action 연구 기반 치매 치료제 개발 가능성 검증 ▸ 연구책임은 신경생물학 전공 연구팀(PI: 이승희)이며, 신경펩타이드의 생체 내 주입을 통한인지 기능 조절 효과를 동물 행동으로 모니터링함. 공동연구자로, 화학적 기능 분석은 화학전공 연구팀(PI: 박기영)이, 신경펩타이드 활성화 형태 및 항체 기반 약물 제형은 나노-바이오 소재 기반 약물 제형 전문 연구팀(PI: 정현정)이, 수용체 기반 on-chip 스크리닝 기술 개발 연구팀(PI: 이현주)이 유기적인 융합∙공동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후보물질을 개발할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 이와 함께 소마토스태틴 수용체의 활성제 및 억제제를 화학적으로 직접 합성하는 화학 유기합성 연구팀 (PI: 이희윤)이 함께 연구를 수행하여 소마토스태틴 수용체 조절을 통한 인지 기능 조절 기술을 확보함. ▸ 기 확보된 자연형 고분자 SST 의 인지 기능 향상 효과 및 조각형 저분자 SST의 인지기능 저해 효과가능성을 보다 확인함. 이와 함께 SST가 대뇌 피질에서 작동하는 원리를 정상 모델과 치매 모델에서 규명하고자 함. ▸ 금속 이온과 자연형 SST의 물리화학적 반응 형태 규명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SST의 기능이 금속 이온에 의해 변화되는 원리를 확인. ▸ SST 정량이 가능한 antibody 및 수용체 기반 on-chip 스크리닝 기술 개발 3) 주요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신경펩타이드 SST의 기능 및 활성 형태에 기반하여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 인지 장애 치료의 새로운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목표로 함. 생체 내 존재하는 신경펩타이드의 기능 및 치매 유발 가능성으로부터 치료 방법을 개발할 뿐 아니라, 초기 치매 진단의 타겟으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 4) 주요 제언 ▸ 본 연구는 신경과학 연구를 통하여 발굴한 인지 기능 향상 유효 물질 신경펩타이드 SST의 기능에 기반하여, 화학-나노과학-전자공학적 기술을 점진적으로 접목시켜, 바이오의약품 후보물질 개발을 목적으로 함. (출처: 요약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