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2030년 한국의 전체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선진국 (미국, 영국, 프랑스 등) 평균 수준을 넘어설 전망. OECD 34개 회원국의 인구구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고령인구 (65세 이상) 비중은 12.2%로 30위에 머물렀지만 증가속도는 1위를 기록. ○ 대한고혈압학회는 65세 이상 고령 연령대 고혈압 유병률이 50%를 웃돌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앞으로 10 ~ 20년 내에 노인 연령대에서 고혈압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으로 내다봄. ○ 기능성 식품 산업은 질병예방을 통해 국민의료비 절감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고부가가치 미래 핵심동력산업으로 전망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목표 : 후보 소재 탐색 및 활성물질 분리 ○ 세부 연구목표 - 인공효소 가수분해물 제조 -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5종을 이용한 가수분해물 제조 - 안지오텐신 I-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가지는 활성물질 분리 및 시퀀스 규명 ○ 연구결과 - 인공효소 가수분해물의 높은 ACE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8개의 펩타이드 시퀀스를 규명하였다. -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5종 중 Neutrase 가수분해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 Neutrase 가수분해물 유래 FLLPPP 및 DVVF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확인하였다. ○ 연구목표 : 혈압개선 효능 평가 및 메커니즘 규명 (In vitro) ○ 세부 연구목표 - 안지오텐신 I-전환효소(ACE) 저해활성 효능 평가 및 작용기전 규명 -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저해활성 효능 평가 및 칼슘채널 저해활성 효능 평가 - Molecular docking system을 활용한 활성 물질의 작용패턴 분석 ○ 연구결과 - FLLPPP 펩타이드의 phospho-eNOS 및 phospho-Akt 단백질이 발현함을 통해 혈압조절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저해활성 및 칼슘채널 저해활성 효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 FLLPPP 및 DVVF 펩타이드의 Binding energy(kcal/mol)는 각각 –124.44, -285.81로 높은 binding energy값을 나타내었다. ○ 연구목표 : 혈압개선 효능 평가 및 혈압개선 소재의 안정성 평가 (In vivo) ○ 세부 연구목표 - 선천성 고혈압쥐를 이용한 혈압강하 효과 확인 - 온도 및 pH에 따른 활성물질 안정성 평가 - Zebrafish model을 이용한 활성물질 안전성 평가 ○ 연구결과 - FLLPPP 펩타이드 경구투여 후 6시간까지 유의적으로 혈압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 온도 및 pH에 따른 활성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 Zebrafish model을 이용하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현재 항고혈압 관련 치료제들은 고콜레스테롤증, 현기증, 두통, 헛기침, 미각장애, 피부 홍진,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내고, 고혈압 환자가 항고혈압 약을 복용하게 되면 평생동안 꾸준하고 지속적으로 복용해야한다는 항고혈압 약의 특성상 부작용이 없는 천연 항고혈압 개선 건강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또한, 학술적으로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 억제제 (ACE 억제제)의 연구결과가 많이 진행되어져 있지만,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약제의 경우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및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RB)와 칼슘 채널 차단제(CCB)를 병용한 고혈압 제제가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음. ○ 과거 단일제제의 처방에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RB)+칼슘채널 차단제(CCB) 배합제는 급속도록 점유율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비록 실험결과에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RB) 및 칼슘채널 차단제(CCB)로서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혈관세포에서 eNOS 생성을 통한 혈관확장 기능이 있음을 확인함. 따라서, ACE 억제제 및 혈관 확장 효능이 더해져 보다 효과적인 혈압강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