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오존과 에어로졸은 기후변화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복사강제력 등의 산출이 이루어 지고 있으나 그 불확실성이 계속해서 존재하고 있다. 관측과 모델을 통해 복사수지 변동성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그 물질의 연직 분포의 파악이 중요하지만 관측자료의 부족과 모델 모의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관측과 모델의 조합이 중요하다. 관측과 모델에서의 오존과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에 따른 직접복사강제효과의 민감도를 측기로부터의 관측 오차와 모델로부터의 산출 오차 측면에서 오차들을 정량화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에어로졸과 오존의 연직 분포 변화에 따른 복사민감도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에 대한 전구기후모델의 모의 및 지역적 변동성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복사민감도 변화의 정량적 변동성을 수치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오존에 대해서는 가장 심하게 연직 분포가 변하는 2차 오존피크 (Secondary Ozone Peak; SOP)의 발생에 따른 오존전량 산출 편향성을 실제 현업 위성 산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확인하였으며, SOP의 장기 발생빈도를 확인하여 오존전량의 장기 변화경향에 연직 분포가 중위도 지역에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에어로졸과 오존의 연직 분포 변동성의 원인과 발생 빈도의 파악을 통해 그 편향성의 파악과 함께 새로운 방법론의 개발에 있어서는 초기 방법론에 대한 제시를 할 수 있어 (에어로졸: 혼합고도 (Mixing Layer Height; MLH)와 행성경계층 간의 상관성 분석, 오존: SOP의 장기 발생빈도 경향성 분석)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를 달성하였으나 연구목표 달성 이후, 실제 위의 방법론을 모델과 관측 자료에 적용하는 연구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에 의한 복사민감도에 대해서는 현재 모델과 관측 사이에서 발생하는 큰 불일치성과 함께 모델 간의 복사강제력에 대해서도 다른 기체상물질보다 낮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여러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새로운 에어로졸 초기 방출고도에 대한 모형 개발의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존에 대해서는 연직 분포 변화에 의해 오존전량 관측 결과의 편향성을 정량화하여 연직 분포 변화에 의한 오존의 장기 변동성의 편향성의 정량화 연구에 활용되거나 겨울~봄철의 오존전량 자료의 재처리에 활용할 수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