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해외 생물다양성 조사 사업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2. 연구배경 및 목적 ○ 해외 생물다양성 조사와 유용소재의 합법적·안정적 확보를 통한 국내 생물산업 지원 및 협력국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기여 3. 연구내용 및 방법 ○ 협력 4개국(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필리핀) 겨울철 조사 ※ 해외 생물자원 발굴·분류 연구용역에서 수행하지 못하는 겨울철(1~2월) 조사는 자체 사업에서 수행 ○ 생물다양성 국제 공동조사 실시 - 탄자니아(전통 약용식물 조사·확보, 조류도감 발간 준비) - 미얀마 카친(생물다양성 조사 및 전통 약용식물 조사·확보) - 베트남(생물다양성 조사 및 전통 약용식물 조사·확보) - 콜롬비아(생물다양성 공동조사) ○ 확보 대상종 특허분석(200종) ○ 유용생물소재 자료집 발간 4. 연구결과 ○ 협력 4개국(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필리핀) 겨울철 조사 - 캄보디아 및 미얀마 1~2월 조사를 통해 총 242종 969점의 표본을 확보 (신규종 80종) ○ 국가별 생물다양성 조사 및 유용생물 확보 - (탄자니아) · 탄자니아 북부 약용식물 전통지식 조사(2회)를 통해 관속식물 268종 323점(신규종 241종)의 표본을 확보하고, 36종의 소재를 채집 · 탄자니아 서부 조류 도감발간을 위한 공동조사(2회) 수행. 378종의 조류출현 확인하고 150여종에 대한 사진 자료 확보 - (미얀마 카친) 동물 및 식물조사팀 생물다양성 조사(2회) 완료. 총 176종 740점의 표본(신규종 84종)과 20종의 생물소재 확보 - (베트남) 2차례 조사를 통해 관속식물 175종 480점(신규종 43종), 균류 359점(신규종 33종), 선태류 70종 160점(신규종 20종) 및 곤충 505점 확보. 유용식물 소재 40종 확보 - (콜롬비아) 훔볼트 연구소와 산탄데르주 알모르사데로 파라모 일대 공동조사. 자원관에서는 종자식물, 양치식물, 곤충, 조류, 양서파충류 등 5개 분야 조사 참여(표본 미반입) ○ 확보 대상종 특허분석(200종) - 캄보디아 1종, 탄자니아 180종, 미얀마 19종 등 총 200종의 특허 및 선행연구 분석 ○ 유용생물소재 자료집-III 발간 - 산학연의 해외 생물소재 활용 지원을 위해 유용생물소재 자료집 발간 - 캄보디아(37종), 몽골(20종) 및 베트남(107종) 생물소재의 형태, 현지 전통지식 및 관련 특허 수록 5.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해외 생물 표본 및 소재 확보 목표 달성 - 표본 3,536점, 신규발굴 501종 및 유용생물소재 96점 확보 - 확보표본은 향후 협력국 기증 예정(종 당 1점) ○ 본 연구로 확보한 해외 생물자원 시료 96종은 추출 및 유용성 분석예정이며, 유용 생물자원 발굴, 특허출원 및 관심 기업 기술 이전 준비 ○ 연구 결과인 해외 전통지식 자료집은 국내 산업계 및 학계(총 276곳)에 배포되어 바이오산업계의 해외생물자원 연구를 지원하는데 사용 (출처 : 요약문 7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2753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