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요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EMT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상피세포-중배엽성세포 변이) 과정을 유도하여 암세포의 전이를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사인자인 Snail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는 새로운 PTM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매개 단백질을 탐색하고 그 기능을 규명하는 것임. 이는 암환자를 궁극적으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암세포의 전이 단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며, 향후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약물 개발을 위한 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Snail의 기능을 조절하는 새로운 kinase, p38의 탐색 및 기능 규명 - Snail 단백질의 Ser107 잔기를 인산화 시키는 p38 kinase를 탐색하였음. - p38 kinase에 의한 Snail 단백질의 stability 증가를 확인하였음. - p38 kinase에 의한 Snail 단백질의 stability 증가 기전을 규명하였음. - p38 kinase에 의한 Snail 단백질의 인산화가 Snail의 암전이 촉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음. - Ovarian cancer 환자 조직에서 p38 kinase와 Snail 단백질 발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음. 2. Snail의 기능을 조절하는 새로운 E3 ubiquitin ligase, CHIP의 탐색 및 기능 규명 - Snail과 interaction하는 새로운 E3 ubiquitin ligase로 CHIP을 탐색하였음. - CHIP에 의한 Snail 단백질의 stability 억제 기전을 규명하였음. - CHIP 단백질이 Snail의 in vitro 및 in vivo 암전이 촉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음. - Ovarian cancer 환자 조직에서 CHIP과 Snail 단백질 발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음.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암 치료 표적 발굴은 오래 전부터 임상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슈이며, 많은 나라의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맞춤의학에 적합한 'Golden Standard'를 개발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단백질의 PTM을 타겟으로 하는 암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먼저 개별 단백질들의 PTM이 암의 진행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 - 본 연구를 통해 본 연구책임자는 Snail을 인산화시키는 새로운 kinase로 p38을 탐색하고 그 기능을 규명하였음. - 또한 Snail을 ubiquitination시켜 그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새로운 E3 ubiquitin ligase로 CHIP을 탐색하고 그 기능을 규명하였음. -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Snail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는 새로운 PTM 매개 단백질들의 경우 향후 암의 전이를 진단하는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Snail의 기능을 조절하여 암의 전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 소재 개발을 위한 표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