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동북 아시아 전기 고생대 탄산염 생물초의 퇴적 환경과 진화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강원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고착성 생물에 의해 발달하는 생물초는 형성 당시 모습이 보존된 원지성 퇴적체이다. 지질역사에서 처음으로 골격질 생물이 참여하고 주도적으로 형성한 전기 고생대 생물초는 오늘날 탄산염 퇴적계와 생물계의 원류가 형성된 과정을 볼 수 있는 진열장으로서, 이들의 변천사 이해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최근 동북아시아의 전기고생대 생물초의 고생태학적 연구를 통하여 과거 북미 및 유럽학자들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생물초 발달 및 진화사에 대한 가설이 재고되어야함이 제기되었다. 이 과제에서는 동북아시아의 탄산염 생물초의 발달기작을 규명하고 환경 변화에 상응하는 생물초 유형의 발달을 평가하여 당시 동부 곤드와나 연변부에 위치했던 생물초의 발달 및 진화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곤드와나 연변부의 생물초 발달 연구를 위해 통시적으로 하부 캄브리아계부터 중부 오르도비스계에 이르기까지 하부고생대층에서 산출되는 미생물 및 고착성 동물 생물초암과 퇴적환경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밀 야외조사와 더불어 현미퇴적상 분석을 심도있게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과제에서는 남중대지의 하부 캄브리아계 선녀동층 크러스트 바운드암 및 생물초암의 성인, 한중대지의 중부 캄브리아계 장샤층의 쓰롬볼라이트-자포동물 생물초 발달, 인근 동부 곤드와나에 위치했던 남극 북빅토리아랜드 미생물초 및 탄산염대지 복원, 한중대지의 하부 오르도비스계 두무골층의 생물초암 퇴적환경 및 퇴적 윤회와의 관련성, 중부 오르도비스계 두위봉층 층공충-태형동물 생물초의 성인, 전기 고생대 생물초에서 공통적으로 산출되는 유사각질해면류에 대한 퇴적학 및 고생태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과제의 결과는 야외조사를 기반으로 이해되어 온 당시 생물초의 발달 및 진화사의 전지구적인 경향성에 대하여 환경적, 지역적 및 시기적 편차를 고려해야 함을 국내외 학계에 보고하였으며 당시 생물초의 발달과 진화 경향 이해를 크게 제고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전기 고생대 생물초와 같은 소규모의 구성생물 및 생물초암에 대한 현미 퇴적상 분석에 있어 슬랩면을 박편세트로 제작하여 수행한 중-미시규모의 복합적 관찰 결과와 생물초 주위 퇴적상에 대한 전통적인 현미 퇴적상 분석 결과는 이 과제에서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위한 핵심 방법이다. 이를 통한 생물초 발달의 내적 요인과 미터-규모의 윤회층 및 순차층서학적 해석에 기반한 생물초 발달의 외적 요인 해석은 현생 누대의 소규모 생물초 및 해양 저서 고생태계 연구의 해상도를 제고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적 방향을 제시해준 것이라 전망되며, 본 과제의 연구 결과에서 입증한 기존 이해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은 향후 유사한 생기원 퇴적계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521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