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생애 초기 위험요인 중점 아동 초기 비만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아동 초기는 생리적으로 비만 발생 위험이 높은 반면, 아동 초기 비만은 생활습관 수정으로 중재가 어렵다. 또한 아동 초기 비만은 이후 아동기와 성인기 비만 발생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아동 초기 비 만 예방을 위해서는 산전과 영아기의 생애초기 비만 위험요인의 탐색과 영아기 비만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강조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아동 초기 비만 예방을 위한 생애 초기 비만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중재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생애 초기 비만 위험 요인에 기반한 아동 초기 비만발생 예측 점수 체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2) 생애초기 비만 위험 요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생애 초기 비만 위험 요인에 기반한 아동 초기 비만발생 예측 점수 체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1) 2017년 6~8월 자료수집: 대전 및 제천 소재 유치원에서 3세~5세 학령전기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 실시하고, 최종 507명의 아동과 어머니의 데이터 바탕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과체중 및 비만 발생과 관련된 생애초기 위험요인을 확인함. ◎ 논문출판(SCOPUS): 라진숙 (Jin Suk Ra)외 1인. (2020). Risk Factors in Early lif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that are associated with being overweight or obese.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11(1), 15-26. 2) 우리나라 223명의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아아동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아동 과체중 및 비만 예방 행위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함 ◎ 논문출판(SCI): 라진숙 (Jin Suk Ra)외 1인. (2018). Maternal weight control behaviors for preschoolers related to children's gender.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 547-558. 3) 2017년 6~8월 자료수집: 학령전기 아동의 과체중 및 비만 발생 원인을 아동특성, 부모특성, 가족환경특성의 다층적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함. 청주 소재 어린이집에 다니는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 264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함. ◎ 논문출판(KCI): 라진숙 외 1인 (2019). 학령전기 아동의 과체중 및 비만 관련 위험요인: 생태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3(2), 175-187. 4) 2017년 6~8월 자료수집: 영아기 과도한 체중증가와 어머니의 수유 패턴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40명의 영아와 어머니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함. ◎ 논문출판(SCOPUS): 라진숙 (Ra, Jin Suk). (2019).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feeding practices and excessive weight gain in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0(1), 90-98. 5) 2019년 5월~6월 자료수집: 영아기 과체중을 유발하는 어머니의 강압적 수유 패턴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163명의 영아와 어머니의 데이터를 분석함 ◎ 논문심사 중 (SCOPUS): 라진숙외 1인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강압적 수유 관련 요인 2. 생애초기 비만 위험 요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1) 생애초기 비만 위험 요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2018년 3~2019년 2월 (1) 책임연구자가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을 개발함 (2) 오렌지디지트코리아(웹기반 학습프로그램 개발 업체)와 계약을 체결하여 웹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함. 2). 생애초기 비만 위험 요인 중재 프로그램 효과평가 (1) 초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산전부터 산후 6개월까지 지속적으로 교육을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함. 총 4회 (산전 1회(프로그램 시작 전), 산후 1개월, 3개월 6개월)에 걸쳐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실시함. (2) 2020년 2월 까지 최종 실험군 13명, 대조군 15명이 프로그램 효과 평가를 종료함. (3) 통계분석을 통하여 효과를 확인한 상태로, 메뉴스크립트 작성 중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음. 1. 아동초기와 영아기 과체중 예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유도함 ◎ 2020년 3월 20일자 헬스조선 기사에 2020년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에 게재한 연구결과가 보고됨. 출처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20/2020032000006.html 2. 영아기 체중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 증진과 더불어 이 시기 체중관리를 위한 전략 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공함. 3. 우리나라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 초기 과체중, 비만 발생과 관련된 생애 초기 위험을 다층적으로 분석함 최초의 연구로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음. 4. 영아기 과체중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교육내용과 교육전략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하므로, 추후 교육자료의 개발 방향을 제시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50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