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윤충류 2종의 RNA sequencing : 윤충류 시료에서 발현되는 RNA 서열을 시퀀싱하여 cDNA library를 확보하고, transcriptome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한 번에 알아낼 수 있는 방법으로 윤충류 2종의 다양한 생리 기작을 추정할 수 있다. ◦ 윤충류 2종의 스트레스 및 대사 기작과 관련된 유전자 발굴 및 배양환경 지표 선정: 스트레스, 면역, 지질대사 등의 기작 관련 유전자-확보된 cDNA library에서 체내 구성 물질의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의 선별한다. ◦ 대량 배양 최적 조건 확립을 위한 다양한 배양 조건에서의 생물 배양 실험- 온도, 염도이 다른 조건에서의 배양- 생산성, 부화율, 생식률 관찰- 배양환경의 적합성 선정 (생리 지표를 이용한 호 배양 범위를 선정) ◦ 배양 조건에 따른 먹이원으로서의 윤충류의 건강성 및 질적평가와 유전자 지표의 활용-먹이질을 결정짓는 체내 물질의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지표의 실제 배양 조건에서의 변화 확인한다. ◦ 먹이질 향상을 위한 배양 환경 지표로서의 활용 가능성 확인한다.-결과 토의를 통한 최적 대량 배양환경 평가에 이용 가능한 생체 지표 제시 ◦ 윤충류 2종의 생리생태학적 요인과 분자생물학적 요인의 데이터를 이용한 대량 배양환경의 최적화 지표 제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RNA sequencing을 이용하여 해산 두 종의 윤충류의 전제 cDNA library를 구축하였다. ◦ 두 종의 윤충류의 스트레스 및 대사 기작과 관련된 유전자를 발굴 하였다. ◦ 두종의 윤충류의 대량 배양을 위한 다양한 환경조건 (온도, 염분) 변화에서의 성장률 및 생산성의 변화를 분석 하였다. ◦ 해수산 윤충류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 조건 및 건강성 모니터링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 조건 (온도, 염분) 변화에서의 산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변화 및 항산화 효소활성을 분석 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먹이생물 배양에서의 환경 조건이 생물의 성장 및 먹이질에 미치는 영향은 환경 내 물리, 화학, 생물학적 요인들과 복합적으로 연결되어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어 및 치어의 먹이가 되는 윤충류의 대량 배양 환경에 대한 최적의 조건을 제시할 수 있으며 분자생물학적 유전자 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 ◦ 윤충류 2종의 배양 환경조건에 따라 지질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감지하는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에서 국제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기술력의 확보뿐만 아니라 후속학문세대의 양성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통해 배양조건에 따른 윤충류의 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어 향후 먹이 생물 양식의 최적화 조건을 확립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근거로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발굴된 바이오마커 유전자는 양식 분야의 먹이 생물 건강성을 판단할 수 있는 kit 개발에 이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백질 항체 개발까지 이어지게 되면 간편하게 배양 조건 최적화 탐색용 kit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윤충류가 먹이생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바, 이를 이용한 대량 배양 최적화 연구는 치어 양식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는 수산업에 미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클뿐 아니라 이 분야의 양식어업의 활성화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