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저선량 미소병변 영상획득을 위한 자동 규격변경 멀티핀홀 이용 질병특화촬영 SPECT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제안 기술의 특징 및 연구 목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변규격 콜리메이터는 검사 중에도 자유롭게 핀홀콜리메이터의 규격을 변경할 수 있는 신개념의 콜리메이터로, 다양한 촬영목적에 대응하여 규격 변화가 가능함. ⋅기존의 촬영대상중심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장치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구동 방식은 시스템 파라미터 변경의 한계로 고해상도와 고민감도를 동시에 확보하기 어렵고 다양한 질병 대응에 한계가 있음. ⋅반면, 개발한 가변규격 SPECT는 관심영역에 최적화된 핀홀 콜리메이터의 모양 및 검출기와 갠트리 움직임과 같은 시스템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고품질의 SPECT 영상 획득이 가능함. ⋅본 연구에서는 관심영역중심 가변규격 SPECT 시스템을 위한 검출기, 가변규격 콜리메이터 및 SPECT 갠트리를 설계 제작하고, 촬영목적특화 영상재구성 알고리듬을 개발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저선량 미소병변 영상획득을 위한 신개념 가변규격 멀티핀홀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장치(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개발 1)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질병인 암의 예방 및 조기 진단이 가능하도록 저선량으로 미소병변을 영상화 할 수 있는 SPECT 기술 연구 2) 기존 SPECT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해상도/고민감도 촬영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가변규격 멀티핀홀 SPECT 개발 3) 질병에 최적화된 가변규격의 구조변화에 맞춘 촬영방법 및 영상재구성 방법 구현 ▶ 세부목표 ⋅1단계(2016~2017) : 검출기, 콜리메이터 모듈별 핵심기술 개발 - Ce:GAGG 섬광결정 어레이 및 반도체 광증배소자를 이용한 고해상도 검출기와, 검출신호 처리를 위한 아날로그회로 및 데이터수집 시스템을 설계하였음. - 관심영역중심 가변규격 SPECT의 시스템 파라미터에 대한 계산식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영상재구성 알고리듬을 개발하였음. ⋅2단계(2017~2018) : SPECT 헤드 및 촬영구동장치 개발 - 1단계에서 설계한 가변규격 SPECT용 검출기를 제작하고, sub-millimeter의 공간 분해능과 15%의 에너지 분해능을 획득하였음. - 가변규격 콜리메이터 버전1을 제작하였음. 이를 이용하여 확대율 변화에 따른 점선원 영상 획득 및 핀홀 구경 변화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음. - 촬영 각도 별 민감도 보정알고리듬을 개발하고, 가변규격 핀홀에 80% channel length keel-edge 모델링을 적용하여 재구성 영상의 Recovery Coefficient 값을 향상시켰음. ⋅3단계(2018~2019) : 시스템 통합 및 성능검증을 통한 안정화 - 0.4㎜~2.0㎜의 핀홀 지름과 15°~50°의 acceptance angle 구현이 가능한 가변규격 콜리메이터 버전2와, 구동 재현성 및 정밀도가 향상된 SPECT헤드를 제작하였음. - 기존의 촬영대상중심 SPECT와 관심영역중심 가변규격 SPECT시스템의 성능비교를 위한 실험환경을 구축하였음. 라인소스촬영 실험 및 사이노그램보정을 통해 반치전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3.61㎜의 재구성영상을 획득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변규격 콜리메이터는 검사 중에도 자유롭게 핀홀 콜리메이터의 규격을 변경할 수 있는 신개념의 콜리메이터로서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된 독창적인 기술임. 개발된 프로토타입 시스템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SPECT 대비 민감도와 해상도가 각각 2.8배, 2.85배 향상되었음. ▶ 본 과제 기술을 바탕으로 순수 국내 기술의 SPECT를 제작하여 해당 분야의 입지를 굳건히 하고 핵의학의 핵심기술을 확보함. 초고해상도의 성능이 검증된 가변형 콜리메이터를 이용한 가변규격 SPECT 시스템을 통해 신시장 창출 및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가변규격 멀티핀홀 SPECT는 방사선 피폭량을 낮추자는 의료 현장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정확도 높은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암 조기진단율과 환자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12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