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외계행성 탐색시스템 운영 ○ 광시야 관측시스템 운영 - 남반구 3개 관측소(칠레, 남아공, 호주) 상시 운영 및 천체관측 수행 - 1.6m 망원경과 모자이크 CCD 카메라 유지관리 및 성능개선 - 관측 장비 가동률 99.5%(기기불량 요인), 실 관측률 75.6%(날씨불량 요인) ○ 대용량 자료처리시스템 운영 - 0.8 PByte의 신규 저장장치 확보로 총 3.4 PByte의 대용량 시스템 구축 - 연간 827.2 TByte의 관측 자료처리 ○ 탐색시스템 활용연구 지원 - 시스템 활용 최적화를 위한 과학연구 워크숍 개최 - 장비활용 SCI 논문 32편 게재, 외부활용률 69.7%,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출처 : 요약서 5p) □ 우주측지 인프라 운영 및 천문역법 연구 ▪ GNSS관측망가동률 99.6%, IGS GDC가동률 99.93% ▪ AOPOD 데이터센터운영 및 준실시간 수집체계 구축(MoU: NOAA-KARI-KASI) ▪ Multi-GNSS 단일주파수 PPP자료처리 기술 개발 ▪ 2019 월력요항 발표, 역서발간 및 국가천문업무 수행 (출처 : 요약서 84p) □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운영 및 연구 ○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운영 및 연구 - 세종/거창 SLR 관측소 운영 : 세종 SLR 관측소 정상운영 : Core Station을 위한 Local tie 핵심 연구 : 거창 SLR 관측소 시험 관측 및 정상운영 - SLR 과학연구 : 회전 분석을 위한 고반복율 관측데이터 취득 및 배포 : 위성-지구 식에 의한 위성의 회전섭동 검출 - SLR 활용기술 개발 : 거창 SLR 관측소 우주물체 적응광학 영상촬영 및 적응광학 제어시스템 분석 : DLT(Debris Laser Tracking) 송수신 시스템의 핵심요소인 T/R 디스크 개발 (출처 : 요약서 186p) □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운영 및 활용 연구 1. 2016년까지 설치한 OWL-Net을 안정화하고 그 성능을 검증하여 2019년 현업적용에 대비하였음. 2. 현업운영과 동일한 최종시험운영을 진행하여 운영율 76.2%의 결과를 얻어 목표인 60% 이상을 달성하였음 3. 3개 이상의 저궤도 인공위성에 대한 관측을 통해 궤도산출능력을 검정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특히 궤도정보 산출과정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하는데 성공하였음. 4. 표준성 관측을 통해서 모든 관측소에 대한 광학시스템의 Calibration/Validation 작업을 수행하여 정량적인 특성파악을 완료하였음. 5. 인공위성 및 자연우주물체에 대한 이벤트 관측을 수행하여 향후 외부기관과의 협업에 OWL-Net이 대응할 수 있는 테스트 과정을 진행하였음. 6. 외부 관측요청에 대비해서 자료분배시스템을 완비하였고 현업적용 관측모드 확정 및 전체적인 관측 프로세스를 확립하였음. 7. OWL-Net 시스템 소개를 위한 논문과 OWL-Net 활용에 대한 논문 등 SCI급 논문 3편이 발간되었음. (출처 : 요약서 306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