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Ⅳ. 연구개발결과 ○ 저선량 방사선 피폭평가를 위한 중기세포 해석수 기준 제시 ○ 방사선에 대한 개인의 감수성을 고려하여 최소 여러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값을 반영해야 한다는 사실과 일치하는 결과 확임 ○ 0.1 Gy/min 수준의 낮은 선량율로 0.05, 0.1, 0.2 Gy를 포함하여 0.3, 0.4, 0.5, 0.6, 0.7, 0.8. 1 Gy 방사선을 조사하여 염색체 분석을 실시하여 표준선량곡선을 확립 ○ 전좌분석을 이용하여 방사선에 장기간 노출된 경우 만성 피폭 평가를 위해 표준선량곡선을 확립 ○ 저선량 방사선 민감 후보 생체 지표 2종 발굴 ○ 저선량 방사선에 의해 암세포주의 이동이 증가하는 현상 확인 ○ 고선량율 방사선 조사 (최종 8 Gy)에 의한 흉선암 발생 확인, 반면 저선량율 방사선은 동일 선량에서도 확인 되지 않음 ○ 저선량율 방사선에 의한 고환의 크기가 작아지는 특성을 확인 ○ 방사화를 통한 미량의 농축량이 이화학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됨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