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에너지관련 정책 정부는 에너지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2017년 12월 을 발표하여,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현재의 6.2%에서 20%로 확대하기 위한 세부이행 계획을 마련하였고, 더불어 을 발표하여 2031년까지 원전과 석탄화력발전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한편,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친환경 에너지 확대 방안을 확정하였다(표 1). 또한 을 통해 분산형전원의 확대를 6대 중점과제의 하나로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전체 발전량 중 분산형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을 2035년까지 15%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2019년 6월 을 통해 자가발전 설치 유도, 집단에너지 확대 그리고 분산형 신재생에너지 보급 등의 추진 방안을 확정하였다 [1] . 표 1. 발전량 비중 전망 [1] (목표시나리오, 단위: %) 연도 원자력 석탄 LNG 신재생 석유 양수 계 2017 30.3 45.4 16.9 6.2 0.6 0.7 100 2020 23.9 36.1 18.8 20.0 0.3 0.8 100 본 리포트에서는 정부의 에너지 관련 사업정책 달성에 필요한 기반 기술을 하드웨어적인 소재 부품 및 설비 기술과 소프트웨어적인 수요관리 및 거래 기술로 나누어 각각의 특성과 융합 특성 그리고 기술로부터 파급 가능한 지속적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