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현재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 데이터(CAPSS)에서 굴뚝 미세먼지는 여과성 미세먼지와 응축성 미세먼지를 구분하지 않고 있다. 응축성 미세먼지의 경우 여과지를 가스상 형태로 통과한 후 대기중 응축하여 미세먼지를 형성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 적용 가능한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희석장치를 활용한 응축성 미세먼지 측정 기술을 개발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희석장치를 사용한 응축성 미세먼지 측정기술 및 장비 개발 - 측정장치 설계 및 제작: 응축성 미세먼지 측정장치 설계 및 제작을 위해 ISO 25597:2015 와 EPA CTM-039 방법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희석방법을 변형한 형태의 측정 장치를 설계 하였음. 고온의 가스상으로 배출되는 특징 때문에 바로 상온으로 희석할 경우 액상으로 변해버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단 희석 장치에서는 고온희석, 2단 희석장치에서는 상온 희석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함. (2) 응축성 미세먼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 나노 사이즈 입자가 agglomeration 되는 현상의 key parameter를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규명함. - 3D 프린터에서 배출되는 응축성 미세먼지의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 생물성 연소에서 발생되는 응축성 미세먼지 측정 및 분석. - Welding Fume 공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성 미세먼지 측정 및 분석. (3) 응축성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 열전사 공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필터 외부탈리 기술을 개발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dilution system을 사용한 응축성 미세먼지의 측정 방법은 새로운 기술은 아님. 또한, 본 연구팀이 구상하고 있는 방법 또한 다른 연구자에 의해 발표된 바가 있음. 그러나 이러한 측정 장치를 소형화하는 기술은 아직 초기단계이며. 본 연구의 새로운 점은 이러한 기술에 입자의 생성과정을 제어할 수있는 연구를 접목시켜 학문적으로 획기적이라고 자부할 수 있음 - 연구의 성과를 우수 국제 학술지 논문과 학술대회 등에서 발표함으로써 응축성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분석과 새로 개발된 측정 방법으로 통해 응축성 미세먼지 연구 분야에 있어 국제적 우위를 선점하고, 국내외 공동연구 및 대기환경 분야의 저변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