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낮은 표면밝기 은하의 탐색 및 특성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7-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북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의 목적 및 내용 계층적 병합 모형이라는 거대한 이론적 패러다임 하에서,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 단위인 은하는 다양한 질량의 암흑물질 헤일로에 속해있으면서 시간에 따라 헤일로끼리의 병합을 통해 성장하고 동시에 별 생성, 활동성 은하핵 발달, 다양한 피드백 등을 겪으며 항성종족, 금속함량 등의 변화를 겪는다. 은하의 항성 질량, 은하가 속해 있는 환경 등은 이러한 은하 진화에 작용하는 주요 변수이다. 본 과제에서는 가까운 우주와 먼 우주에서 별 생성이 활발한 은하, 무거운 은하 등의 진화를 살펴봄으로써 은하의 물리량 사이의 관계, 은하의 성장, 적색이동에 따른 변화 등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였다. 연구결과 비교적 가까운 우주에서 극히 최근에(수백만 년) 폭발적인 항성생성이 있었던 은하와 상대적으로 조금 더 긴 시간(수천만 년 이상) 규모의 항성생성이 있었던 은하를 분광관측하여 별생성률, 항성질량, 금속함량, 이온화 광자의 기원을 살펴보았다. 별생성률, 항성질량, 금속함량에 있어서는 항성생성의 시간적 규모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은하에서 활동은하핵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의 금속함량-항성질량 관계를 볼 때 이들 은하에서는 폭발적 항성생성에 의한 활발한 피드백이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들은 현재도 별 생성이 활발한 은하들이나, 가까운 우주의 은하단 중심 등에는 무겁고 별 생성이 거의 없는 조기형 은하가 위치한다. 이 조기형 은하의 조상으로 생각되는 것들은 밝은 고적색이동은하들이다. 넓은 근적외선 영역 데이터와 깊은 광학 영역 데이터를 결합하여 고적색이동은하를 찾고 이들의 군집도를 살펴보았을 때 무거운 조기형 은하의 군집도와 유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두 은하 종족 사이에는 가까운 진화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논문으로 출판된 위 결과는 기존 연구를 지지하거나 강화하는 결과이며, 크게 반대되는 내용이나 새로운 내용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관측 표본의 확대는 표본의 부족에서 나오는 오차를 상당부분 줄여줄 것이며, 현재 데이터로 명확히 확정할 수 없는 부분(예를 들어, 질량-금속함량 관계의 원인으로 더 큰 기여를 한 것이 활발한 피드백인지 혹은 질량에 따른 포텐셜 차이인지 등)은 다파장 관측 등 추가 관측으로 분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과제의 연구결과는 후속 연구를 위한 발판으로 사용될 것이다. ( 출처 : 한글요약문 4p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035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