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미시적 도시형태 및 자연환경 제어를 통한 외부활동 활성화 및 건축물 에너지 부하저감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호서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본 연구는 건강한 커뮤니티, 저에너지 및 저탄소 환경 조성을 위해서 신진대사형 통합도시모델 개발이라는 최종목표를 이루기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이를 위해서 지구(District 또는 Neighborhood) 공간범위를 중심으로 도시건축환경과 자연환경이 인간의 두 가지 중요 행태인 외부공간활동과 내부공간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했다. 이들은 다양하고 복잡한 관계를 갖기 때문에 그동안 그 연구가 미진했고, 일부 개별적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었으며, 특히 거시적 공간이 아닌 미시적 공간에 대한 연구는 더욱 미진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도시형태와 토지이용 - 국지환경 - 외부활동 활성화와 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 최종적으로 이를 바탕으로 다른 지구에 대한 예측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는 모두 3차년도로 구성되며, 1차년도에서는 국내외 문헌검토 및 사례연구 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검증대상인 통합모델의 대략적인 인과지도를 구축했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 위한 재료로 연구의 공간범위인 서울특별시 및 그 내부의 6곳의 지구(반경 0.5km)를 대상으로 다양한 분석, 측정과 기존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DB를 구축했다. 2차년도에는 첫 번째 단계로, 도시형태 및 토지이용과 국지환경의 관계를 분석하고, 두 번째 단계로, 국지환경과 내부공간활동(건축물 에너지 소비)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3차년도에는 세 번째 단계로, 국지환경과 외부활동(보행 및 쾌적성) 간의 관계를 분석한 후, 최종적으로 도시형태와 토지이용 - 국지환경 - 외부활동과 건축물 에너지 소비 간의 통합모델을 개발했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최근 도시계획·설계의 패러다임이 기존의 단순 물량 확보를 위한 도시개발에서 질적 수준 확보를 위한 도시관리로 옮겨가며, 기존에 다루지 못했던 미시적 도시공간 범위인 지구(District 또는 Neighborhood) 범위의 관리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기존의 도시공간에서의 에너지 소비 및 탄소배출 저감을 목표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그 연구 필요성에 공감함에도, 데이터 구득의 문제, 분석방법의 부재 등의 현실적인 한계 속에서 보다 광역적인 접근을 취하거나 개별 건축물 차원에서의 연구만 치중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비교적 최근에 컴퓨팅 및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전,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기술의 발전, 기후학·환경학·지리학·통계학 등과 도시·건축계획학과의 융복합, 구체적인 개별건축물 및 보행자 관련 데이터 구축의 결과, 지구 범위에 존재하고 활동하는 수백, 수천 동의 건축물과 보행자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미시적 도시공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2484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