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 밀 품질 관련 글리아딘 프로파일링 및 저장 단백질 돌연변이 소재 개발 2. 기능성 생리활성물질 고함유 밀 육종소재 개발을 위한 분자육종연구 □ 연구개발성과 1. 국내 밀 품종의 글리아딘 유전자 좌 분석 - SDS-PAGE 패턴 분석결과를 이용 국내 밀 32 품종의 유전자좌를 분석 2. 국내 밀 품종 금강의 글리다딘 단백체 지도 작성 - 국내 밀 품종 금강의 글리아딘 분획을 이차원전기영동을 실시하고 모든 스팟들을 MS/MS 동정 3. 밀 저장단백질 돌연변이체 탐색 및 원인 분석 - 단백체 기술을 이용 알러지 저감 밀 '오프리' 동정 4. 글루텐 단백질 구성 성분의 비율 확인 - HPLC와 BSA를 이용 고분자/저분자 글루테닌 비율 분석 - HPLC와 BSA를 이용 각 글리아딘 서브유닛들 비율 분석 1. 기능성 물질 고함유 밀 소재 개발 - 육성 개발 중인 유색밀 집단 농업특성검정을 통한 육종소재 개발 2. 기능성물질 생합성 조절 기작 구명 및 분자육종적 활용 - 안토시아닌 및 기능성 물질 집적 유색밀 계통의 스트레스 저항성 분자육종 연구 및 분자마커 개발 - 환경스트레스에 따른 유색밀 특이 기능성 물질 축적 메커니즘 제시 3. 종자발달 시기 기능성물질 생합성 조절 기작 구명 및 분자육종적 활용 - 종자발달 시기의 기능성 물질 집적 연구를 위한 대량전사체 분석 - 종자발달 시기 유색밀 특이 기능성 물질 축적 메커니즘 제시 - 종자발달시기 유색밀 특이 발현 단백질 분석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 확인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국내 밀 글리아딘 연구 기반 확립을 통하여 새로운 기능성 육종소재 개발 - 금강 밀 품종의 글리아딘 단백체 지도 작성으로 알러지 저감 밀 육성의 기초 마련 - 글루텐 구성 단백질 비율과 가공적성과의 관계 확립 - 글루테닌 돌연변이 유전육종 연구의 소재 개발 - 안전성, 품질, 영양, 기능성 등이 강화된 작물 품종 및 생산기술의 개발은 국내 농산물의 경쟁력 강화에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 기능성 작물을 이용한 건강식품과 산업화 소재로서 작물이 보유하는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신기능성 규명 연구는 앞으로 미래 농업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 기능성 물질이 집적된 밀 육종소재의 개발은 국제경쟁력 제고를 도모할 수 있으며, 취약한 우리 밀의 생산기반을 재건하여 국내소비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밀의 수입 대체 효과를 가져다주게 될 것이다. - 새로운 부가가치산업으로서 농업 분야 농가소득 증대 및 블루오션 창출 뿐 아니라 관련 산업의 동반성장이 기대되며 국내 밀 수급제고 및 수입대체 효과를 동반하여 국내 식량 주권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 출처: 국문 요약문 4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