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의 내동결물질규명 및 서식밀도 변화 예측기법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개발 목적 및 필요성 전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이며 한지성(寒地性) 나비인 붉은점모시나비는 기후변화에 취약해 멸종의 위험이 있어 서식, 분포 변화를 예측․분석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붉은점모시나비는 극도의 내한성을 보유할 것으로 추정되며 붉은점모시나비의 체내빙결점은 유사한 나비목 곤충류에 비해 매우 낮은 내한성을 보여 내동결물질 관련 저온 대사발현 유전체 규명이 필요하다. 내동결 관련 물질과 유전체를 이용한 추후 산업화 과제 도출이 가능할 것. □ 연구개발 결과 1. MRR 방법을 통한 2016년 붉은점모시나비 메타개체군 파악 결과 2. 온도발육실험 및 Validation 3. 내동결물질 및 발육 신호물질(Glycerol) 4. 페로몬 분석 5. 내열성 실험 □ 성능사양 및기술개발 수준 붉은점모시나비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겨울에 부화하여 늦은 봄까지 발육하여 5월 중순에 우화하는 독특한 생활사를 밝혔고, 유전체 분석 및 비교 유전체 분석을 통한 붉은점모시나비의 월동 적응 특성을 규명하였다. 추위에 대한 적응 메카니즘, 독특한 알의 구조, 하면 메카니즘 등은 곤충의 일반적인 생활사와 전혀 다른 패턴을 보여 생물 고유의 적응 현상을 이해하는 충분한 학문적 연구 가치가 있다. 현재까지 연구를 통해 월동 적응 현상 이해를 위해 생리학적 측면에서 발육단계별 체내 빙결점 분석과 일부 heat shock protein의 발현 양상 비교 연구는 괄목할만하다. □ 활용계획 붉은점모시나비의 정확한 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여 생물다양성 증진방안을 제시. 내한성 물질과 유전체를 이용한 산업화 과제 도출.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의 유용유전체 규명으로 진일보 된 보존 정책 수립. □ 주요성과 - SCI급 : 2건 - 일반 : 1건 - 기타 : 보고서원문, 저작권, 국내외학술회의 발표 (출처 : 요약서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180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