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의 목적은 남극 연안 환경에서의 수은의 거동과 먹이사슬을 통한 수은의 생물농축 수준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표층 눈, 선태류와 지의류 등 수은의 대기를 통한 유입원 조사와 함께 해수, 퇴적물, 저서생물, 펭귄, 도둑 갈매기 등 남극 연안 환경의 다매체 샘플링을 통하여 총 수은과 메틸 수은의 분포와 생물농축을 조사하고 이에 관여하는 주요 영향인자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지의류와 선태류의 수은 농도는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교적 유사한 범위를 보였으며 지의류의 평균 수은 농도는 선태류 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이는 지의류의 성장 속도가 선태류에 비하여 느리지만 수은의 흡수 효율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층 눈의 수은 농도는 조사 시기 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흥미로운 결과는 펭귄들의 왕래가 빈번한 길에서는 눈 속의 조류(snow algae) 번식을 육안으로 확인할 정도였으며 수은 농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펭귄이 육상과 해양을 오고가며 수은을 전달하는 biotransport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보였다. 또한 눈이 녹은 물이 지표면을 흘러 해안가로 유입되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육상 기인의 수은 유입이 연안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후속 연구를 통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연안 환경으로 유입되는 수은의 양을 조사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남극의 크릴, 펭귄 종과 도둑갈매기의 수은 농도는 먹이사슬의 영양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펭귄의 성체와 새끼의 수은 농도는 예상과 달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펭귄의 성장과 함께 수은의 농축과 배출 경로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 결과들은 남극 환경에서 대기 침적을 통한 수은의 유입과 기후 변화 영향에 의한 수은의 거동 연구가 필요함을 보였다. 남극 생물의 수은 특히 메틸 수은의 농축에 관한 자료는 매우 미흡한 현실이며 본 연구에서는 저서 생물을 포함한 남극 연안 생태계의 수은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펭귄의 수은 농축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남극해양생물보존을 위한 협약에 관한 정부간기구와 같이 국제 사회에서 요구하는 한국의 과학적 기여 증진을 위하여 수은을 포함한 오염물질의 거동과 생물 농축 연구, 나아가 남극 해양생태계에 대한 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수은과 수은 함유 제품의 단계적 생산과 교역을 규제함으로써 환경에 배출되는 수은을 저감하여 궁극적으로 인체 건강과 환경을 보호할 목적으로 마련된 미나마타 협약의 실효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남극 환경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