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부유미생물을 실시간 분류하고 병원균 발산을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반 통합 모니터링 및 네트워크 알람기능, 자동적 살균 기능이 탑재된 미생물 제어 관리 시스템 및 IoT 기반 Mobile/Web Application 개발을 위한 공기감염 미생물 실측조사를 통한 질병발병 인벤토리 구축 및 건강위해도 평가를 위한 건강영향 특이 물질 후보군 선정, 특이질병군에 대한 정량적 검측 및 임상 검증을 통한 관련 질병과의 상관성 분석, 실측/문헌 조사를 통한 바이오에어로졸 및 에어 샘플러의 물리적 특성 조사를 수행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계절별 연중 미생물 분포 및 종류, 기타 기상자료 DB 구축을 활용한 실외 미생물 농도 변화에 따른 실내 미생물 발생량 변화요인 도출 - 부유 미생물 유해도 판별 및 바이오에어로졸과 주요 위험군 및 주요 질병간의 상관성 분석 - 개별 부유미생물의 관리 우선 순위 미생물 파악을 위한 공기동력학적 직경 측정 분포 결과 파악 - 노출시설별 부유미생물의 정성분석을 통한 종별 분포도 파악 - 실내환경 중 부유미생물 관리 기준을 설정한 외국의 기관 현황 파악을 통한 부유 미생물 분류체계, 관리 기준, 오염원 및 오염원 저감 방법 파악 - 개별 부유미생물의 실내환경 중 측정방법 및 분류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 동향, 개별 미생물의 분포특성 및 위해성에 대한 연구 사례를 수집·분석 - 실시간 바이오에어로졸 사이즈별 측정 및 분석 가능한 시스템 설계인자 도출 - USN 적용 통합모니터링시스템 개발 및 최적 관리기술을 적용한 IoT기반 Smart App 개발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민감취약계층 이용시설 내 재실자, 환자에 대한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의 단기적 영향, 장기적 영향을 고려한 임상평가 검증 및 임상평가지표를 통한 추적 관찰 데이터 확보 - 다양한 실내환경에 적용가능한 부유미생물 제어시스템 설계기술 기반 기술 확보 - 병원에 호흡기 감염 가능성 바이러스를 제어할 수 있는 융복합 청정시스템 개발 및 관리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적 자료 제공 - 병원 등 민감취약계층 이용시설 내 생물학적 인자를 포함한 실내오염인자 간의 상관성, 위해성 평가 자료, 분포도, 주요 질병간의 연관성 자료를 통한 DB 구축 기반 및 우선관리대상 설정 가능에 따른 단계적 관리의 타당성 확보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