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유방암의 발병률은 남녀 전체 5위, 여자 전체 1위를 차지하며 치료효율도 매우 낮은 편인데 그 원인으로는 암 구성세포의 다양성, 화학요법제 및 방사선 치료에 대한 내성 그리고 타 장기로의 전이 등으로 알려져 있음. 그 중에서도 유방암 구성 세포의 다양성은 최근 새로운 유방암 치료제 개발의 좋은 전략적 목표가 되는데 특히 유방암 줄기세포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유방암 세포 뿐만 아니라 유방암 줄기세포도 함께 타겟하는 치료전략이 많이 연구되고 있음. ● 스타틴 계열의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 치료제인 플루바스타틴은 HMG-CoA reductase 저해제로 mevalonate 및 cholesterol의 합성을 저해하여 암 세포 및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한다고 보고됨. ● 플루바스타틴을 히알루론산이 결합된 리포좀에 봉입시켜 CD44를 타겟팅 함으로써 유방암 줄기세포를 사멸시키고, 독소루비신을 병용투여 함으로써 유방암 세포를 사멸시켜 유방암 세포 및 유방암 줄기세포를 동시에 사멸시켜 유방암 치료효율을 극대화 시키고자 함. 이후에 선행 연구를 통해 유방암등에 그 치료효과가 알려져있는 스타틴 계열 약물인 피타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및 로수바스타틴으로 그 대상을 넓혀 이들을 유방암 줄기세포 타겟 리포좀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에 적용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년차 연구를 통해 플루바스타틴을 히알루론산이 결합된 리포좀에 봉입시켜 유방암 줄기세포를 표적 사멸시키고, 이와 함께 독소루비신을 병용투여 함으로써 유방암 세포를 사멸시켜 유방암 세포 및 유방암 줄기세포를 동시에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음. 이어지는 2년차 연구에서는 히알루론산이 결합된 리포좀에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을 봉입시켜 유방암 줄기세포를 표적 사멸시키고자 함. 연구를 통해 히알루론산이 결합된 리포좀에 아토르바스타틴을 봉입하여 유방암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유방암 줄기세포도 효과적으로 타겟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추가적으로 같은 스타틴 계열의 약물인 심바스타틴을 리포좀의 소수성 부분에 봉입하기 위한 리포좀의 구성 지질 비율을 설계 및 제조의 과정을 거쳤으며 리포좀의 구성 물질 중 콜레스테롤의 비율을 낮춰 봉입효율이 증가 되도록 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플루바스타틴이 봉입되고 히알루론산이 결합된 리포좀 제제로 유방암 줄기세포를 표적 사멸시키고, 병용 투여된 독소루비신으로 유방암세포를 사멸시킴으로써 유방암 조직의 이질성 세포를 동시에 표적 사멸시킬 수 있는 스마트 항암제 전달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재까지의 항암 화학요법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고효율 항암제 전달시스템 개발의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약물 재배치 (Drug Repositioning) 전략과 스마트 약물전달시스템 (Smart DDS)의 결합으로 아직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암 줄기세포 사멸을 통한 유방암 치료의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함. ● 플루바스타틴을 비롯한 여러 스타틴 계열의 약물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의 항암효과가 여러 암 종에서 밝혀지고 있고 암 줄기세포는 거의 모든 종류의 암에서 발견되고 있으므로 약물 전달체를 이용한 암 줄기세포 표적 사멸은 유방암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암 치료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암 줄기세포 및 암세포 동시 사멸 항암제 개발 연구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이제 겨우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우리의 기술이 세계적으로 선도적 위치를 점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의학 및 기타 유관 학문에도 아주 큰 파급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