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최근 국제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재해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 및 복구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재해발생 예측을 할 수 있는 기반기술 발전이 요구된다. 자연재해 및 인공적으로 발생하는 재해로 인하여 사회기반시설의 붕괴를 야기하지만, 이에 대한 대응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 재해위험지반에 대한 탐사기법을 개발 및 적용하기 위하여 지반공학적인 측면에서 실내 및 현장실험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반조사 (Ground characterization) 및 지반공학(Geotechnique)의 G와 빅데이터(Big-data), 이동성(Mobile), 그리고 적용성(Wearable)을 의미하는 BMW를 합성하여 지반 특성 평가 및 해석이라는 의미로 G-BMW의 개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BMW 개념을 적용하여 기존에 발생한 재해와 관련하여 취합한 대량의 자료와 직접 수행한 재해위험 지반의 특성 및 요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재해위험 지반의 복합적인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빅데이터의 초석을 다지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목표: 재해유형에 따른 재해발생위험요인 문헌조사, 재해위험지반 평가장비 프로토 타입 개발 연구결과: 문헌조사를 통해 재해위험 대상지반을 구체화하였으며, 재해를 발생시키는 위험요인들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문헌조사의 결과에 따라 재해위험지반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장비의 프로토 타입 모델을 개발하였다 <2차년도> 연구목표: 재해위험지반 대상 현장장비 개발, 적용 및 실내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결과: TDR, 전기비저항 등을 이용하여 재해위험지반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현장실험 장비를 개발 및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각 재해유형에 따른 현장특성을 모사하여 실내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3차년도> 연구목표: 현장장비 검증 및 실내실험 결과에 따른 현장실험 결과와의 비교분석 연구결과: 2차년도에서 개발된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재해위험지반의 공학정수들을 산정하였으며, 기수행된 현장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도출된 재해위험지반의 요소 인자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빅데이터 구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에서는 재해발생유형에 따라 그 발생원인을 조사하고, 실내 및 현장실험을 통해서 재해유형에 따라 적합한 요소 인자들을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을 기반으로 재해위험지반에 대하여 현장실험을 수행한 후, 대상지반을 모사하여 실내실험을 수행하고 실내 및 현장실험의 결과를 상호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축적하였다. 축적된 데이터는 기존 연구 및 추후 연구결과와 융합하여 빅데이터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구축될 빅데이터는 재해예측시스템의 알고리즘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자가분석을 통해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