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과제는 인간 뇌 발달 이상을 유발하는 mTOR 신호전달체계 유전자 변이 발굴과 유전자 변형 동물 모델의 제작을 통해, 뇌발달 제어 프로그램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인자를 발굴하였음. 제 1세부에서는 Anks1a에 의하여 ephrin/Eph RTK가 어떻게 세포막으로 수송되어 mTOR 신호를 조절하고 암 발생에 기여하는지 규명하였고 또한 이러한 작용이 뇌수종 또는 콜로보마 발병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규명하였음. 추가적으로 mTOR 동물 모델과 환자 데이터를 융합하여 새로운 잠재적 마커, 타겟 유전자와 신호전달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특히 과발현된 기능성 유전자로 SLC7A3를 제시하고 과발현에 따른 in vivo 표현형 연구와 transcriptome과 proteome의 융합된 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합성과 신경세포의 분화 특히 시냅스 형성에 가장 많은 변화가 있음을 확인함. 그리고 신개념 기술을 통하여 Rheb에 의한 신개념 mTOR 뇌병변 치료에 대한 결과 및 가설을 이용하여 뇌발달 장애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제공하는 초석을 다졌음. 제 2세부에서는 목표로 하였던 생쥐 모델 제작을 모두 완료하였고, 이들을 이용하여 mTORC1과 mTORC2의 망막신경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성실히 수행함. mTORC1의 신경전구세포 세포 주기 가속화 현상을 분자, 세포, 조직 수준에서 모두 증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mTORC1 과 활성에 의한 신경계 조직의 과성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 더 나아가 그 기전으로 immunoproteasome을 제시함으로써 mTORC1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이해의 심화도 제공함. 본 연구를 통하여 대뇌 피질 발달 장애의 원인인 mTOR pathway 유전자에서 발생한 뇌 체성 유전 변이를 규명하고 세계 최고 권위의 의생명과학 학술지인 Nature Medicine, Am J Hum Genet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 학술지에 교신저자로 그 결과를 게재하였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