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우주환경 대응 및 활용 핵심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Part. 1 ) 우주 극한환경 대응 국산 복합소재 및 전자장치 특성 평가 Ⅳ. 연구개발결과 ○ 국산 복합소재의 특성 평가 - 고온에 유리한 수지를 사용하여 지난 결과에 비하여 고온에서의 물성이 보다 더 안정적임. - 열팽창계수 실험결과 본 국산 복합재료의 열팽창계수는 다소 높음. - Outgassing 시험결과 본 국산 복합재료는 우주용 재료로써 활용이 가능함. ○ 우주비행체 복합재 부품의 실용화 - 국산 탄소섬유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초소형위성이나 달착륙선 구조체에 적용 가능성 판단을 위한 구조물 경량화 연구를 수행함. ○ 전장품의 극저온 온도 환경 시험 - 전자부품이 극저온에 노출되어도 생존이 가능하나, 탐사선 개념으로 시스템 본체를 실험할 시 고무 타이어에 심각한 크랙이 발생함. ( Part. 2 ) 우주정거장 유인우주실험 표준장비 (연소실험) 핵심기술 개발 IV. 연구개발 결과 2018년 우주정거장 활용 유인우주 실험용 표준 연소실험 장비 개발 ◦ 무중력비행기 탑재용 연소실험장비 통합시스템 개발 - 챔버 내부 장착용 연소실험모듈 시스템 개발 - 연소 챔버/연소실험 모듈 통합 모델 제작 및 무중력 비행 (Parabolic Flight) 시험을 위한 지상 성능 시험 - 무중력비행기 내부 탑재 실험장비를 위한 기계/전기/전자부의 개념 설계 및 실험장비의 크기/무게 등에 대한 제작요구사항 도출 - 액적연소시스템 제어모듈 설계/제작 및 GUI 개선을 통한 시스템 제어 및 버튼식 제어 방안 추가 - 무중력 비행기 활용 마이크로중력 액적연소실험을 통한 냉염 현상 연구 및 무중력 환경에서의 개발된 연 소실험장비의 성능 검증 - 시스템 제어모듈 설계/제작 및 GUI를 통한 시스템 제어 유인우주 실험용 표준 연소실험 장비 활용 무중력 비행 실험 ◦ 연소 챔버/연소실험 모듈 통합 모델을 이용한 무중력 비행 (Parabolic Flight) 실험 실험일정 1차 Parabolic Flight 실험 (30회) : 2018.11.14. (수) * 5회(3회 martian-g, 2회 lunar-g) 2차 Parabolic Flight 실험 (30회) : 2018.11.16. (금) * 5회(3회 martian-g, 2회 lunar-g) ISS 활용 우주실험 분야 국제협력 ◦ ISS 활용 유인 우주실험 수행을 위한 국제 협력 - 2018년 NASA의 국제우주정거장 CFI(Cool Flames Investigation) 실험분석 WG 참여 - KARI-ZeroG 협력 무중력비행기 활용 실험 - 제15회 한-일 우주환경 활용 연구 공동세미나 개최 (출처 : 요약문 4p, 11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016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