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IBN 기술의 현황과 과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5-06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최낙선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서론 오늘날 기업의 네트워크는 대부분 음성, 비디오 및 데이터를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현재 기업이 필요한 것은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을 보안기술과 함께 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최근 시스코를 중심으로 IBN(Intent-Based Networking)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5G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네트워크 관리/운용 환경의 복잡성과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다. 전통적인 네트워크관리 환경에서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갖춘 운영자와 그의 노하우에 의존했지만, 고도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운영자에 의한 수동적 관리 방식을 취할 경우 오작동으로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고 실시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시스코, 2017년 6월 28일자).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관리에 있어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보고자 하는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이 IBN이다. IBN에서는 네트워크관리 정책이나 서비스 요구사항을 일일이 다 서술하지 않고 자연언어 형태의 상위언어로 표현하면 이를 자연언어 처리기술을 활용하여 인지하고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의도(Intent)를 분석하여 이를 처리한다. 즉 네트워크 데이터 모니터링을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인공지능/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 값을 찾아내 네트워크를 재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향후 성장동력은 IBN 기술을 제시하고 네트워크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데 있다. 시스코는 Catalyst 9000시리즈 스위치와 소프트웨어정의액세스(SDA, Software Defined Access)자동화 기능으로 IBN의 시대를 열었다. 2017년에 처음으로 이 개념을 제시하고 지금까지 WAN, 브랜치, 클라우드 등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IBN의 장점을 적용하고 있다. 향후 성장 동력은 IBN에서 나올 전망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IBN이 활성화하기 위해 IBN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57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