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핵심기술 ◦ 수출국 규정과 소비자의 관능적 기호에 적합한 한식양념장 제품개발 및 소비 확산을 위한 ICT 기반 패키지/서비스 플랫폼 개발 □ 최종목표 ◦ 수출국 맞춤형 한식양념장 개발 및 ICT 기반 조리법 서비스 융합 - 수출국별 맞춤형 한식양념장 제품화(미국 3종, 유럽 3종) - 수출국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및 수출 체크리스트 구축 - 국가별 레시피 컨텐츠 개발 및 조리법 서비스 플랫폼 완성 □ 개발내용 및 결과 ◦ 미국 맞춤형 한식양념장 제품 개발 - 소불고기, 소갈비, 돼지불고기 소스 3종 제품화 - 제품별 물성최적화, 소비자 기호도 3.81점(5점 척도), 영양성분 분석 완료 ◦ 유럽 맞춤형 한식양념장 제품 개발 - 매운만능소스, 김치양념소스, 떡볶이소스 3종 개발 완료 - 제품별 물성최적화, 소비자 기호도 3.98점(5점 척도), 영양성분 분석 완료 ◦ 수출국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및 수출 가이드라인 구축 - 미국 FDA 기준 소스류 식품첨가물 사용 기준표 완료 - 유럽 EFSA 기준 소스류 식품첨가물 사용 기준표 완료 - 미국에 대한 식품 수출 절차 및 체크리스트 구축 - 유럽에 대한 식품 수출 절차 및 체크리스트 구축 ◦ 국가별 레시피 컨텐츠 개발 및 조리법 서비스 플랫폼 완성 - 미국/유럽 맞춤형 양념장 6종 개발 완료 - 조리동영상 및 레시피 활용 서비스 플랫폼 www.yolyjoly.com 구축 □ 기술개발배경 ◦ 최근 1인가구의 증가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장류의 소비가 감소되고 있는 실정임. 2012~2015년 사이 간장, 고추장, 된장은 연평균 -5.2%의 감소율을 나타냈으나, 양념장류의 경우 4.7%의 증가율을 보임. 한식을 대표하는 조미료가 장류인 점을 감안하면 장류산업에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함. ◦ 양념장을 포함한 소스류는 수출국의 현지 활용도가 높고 한식과 연계하여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제품으로 수출은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나, 교포시장을 벗어나 현지 주류시장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품 현지화 및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한 홍보가 필요함. □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 수출대상국의 식품규격에 적합하고 수출국 현지인의 관능적 기호에 부합하는 한식양념장 제품을 개발함. ◦ 개발 제품의 수출국 소비 확산을 위해 제품별 조리 레시피 컨텐츠를 제작하고, 쌍방향 소통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함. ◦ 플랫폼을 제품 패키지에 적용하여 소비자가 직접 확인 할 수 있어 한식양념장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들에게 매우 적합함. □ 적용분야 ◦ 일반 조미식품 : 한식 요리뿐만 아니라 해외 현지식에도 적용 가능함. (출처 : 요약(초록) - 3. 기술개발 결과요약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