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목적 - 전 세계의 연안해양과 원양에서 산소농도는 감소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빈산소 환경의 형성은 생태 및 생지화학적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침 - 빈산소 환경에서 질소순환과 관련한 연구는 지난 20년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은 미국이나 유럽연합 국가들과 같은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어 왔음 - 한국연안에서도 빈산소 수괴의 발생정도가 확장되고 있음에도, 한국에서 연안해양의 빈산소 및 대양의 산소최소층에서의 질소순환에 대한 연구는 극단적으로 부진한 실정임 - 이는 복잡한 질소순환 과정들(즉, 질산화, 탈질산화, 혐기적 암모니아 산화 등)을 동시에 연구할 수 있는 전문연구인력의 부족, - 새로운 실험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연구기반의 부재에 기인함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덴마크의 연구진과 이전에 구축된 퇴적물의 생지화학 연구에 대한 공동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워크숍과 세미나 개최 및 학생들의 방문 연구 촉진을 통해, 한국에서 특히 연구성과가 부진한 빈산소 해양에서의 질소 순환 연구과제 개발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있음 □ 연구내용 - 본 사업의 목적은 (연구수행을 위한 재료비 사용 및 시료분석보다는)상호방문을 통한 세미나 및 워크숍 개최와 공동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있음, 따라서, 과제의 목적에 맞춰 아래의 내용으로 과제를 진행함 ․ 2023. 6월 24일 ~ 2023. 7월 8일: 참여연구원의 덴마크 남부대학(Southern Denmark University) 방문, 덴마크 협동연구자와 빈산소 질소순환연구 논의 및 관련 기술 습득 □ 연구결과 - 산소가 고갈된 환경에서의 시료 채수 및 환원된 무기물 분석 방법 구축 ․ 무산소 수괴 내 해수 시료를 산소 영향 없이 채수하는 방법 습득 ․ 무산소 수괴 내 황산염 환원율과 황화수소(H<sub>2</sub>S) 농도 측정을 위한 전처리 및 분석 방법 습득 - 수괴 내 이산화탄소 암고정 연구방법 구축 ․ 이산화탄소 암고정 시료 채수방법 습득 ․ 이산화탄소 암고정 배양방법 습득 - 빈산소 수괴 내 질소 순환(탈질산화, 질산화, 혐기적 암모늄 산화, 이화적 질산염 환원, 질산염 환원) 연구방법 구축 ․ 해수 시료 전처리 및 배양방법 습득 ․ 시료 내 <sup>15</sup>N-NO<sub>2</sub>의 N<sub>2</sub>로의 전환 방법 습득 ․ 시료 내 <sup>15</sup>N-NO<sub>3</sub>의 N<sub>2</sub>로의 전환 방법 습득 □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본 프로그램을 통해 습득한 연구 방법을 활용해, 빈산소 피해가 심한 한국연안인 진해만 지역에서 질소 및 여러 원소들의 생지화학적 순환 연구 추진 계획 - 본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향후 한국의 대양연구 지역인 인도양의 산소최소층에서 덴마크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