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지질의 방사선 반응유도체 검지 및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7-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식품지방산들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화학반응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GC/FID 및 GC/MS 방법을 이용한 지방산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이들 방법들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가 포화지방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불포화지방산에 구조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확립된 지방산 분석방법을조사처리식품의 검지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처리식품의 지방산 분석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조사에 따른 식품들의 지방산 함량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산 분석방법을 조사처리식품의 검지기술로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식품지방산들과 인공식품지질로부터 방사선에 의해 생성되는 휘발성 분해산물을 SPME-GC/MS로 분석하였다. 이들 성분들로부터 각각 수십 종의 저분자 탄화수소가 생성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tripalmitin으로부터 방사선 유래 고유마커인 2-ACBs가 검출되어 SPME-GC/MS를 이용한 신속 검지법의 개발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 SPME-GC/MS 분석방법은 GC/MS와 유사한 검출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GC/MS법은 시료로부터 2-ACBs를 분석하는데 최소 2일 이상 걸리나,SPME-GC/MS법은 3시간이면 분석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조사처리식품의 신속 검지법으로써 기대가 된다. 방사선 조사된 식품지방산들과 식품들은 돌연변이원성, DNA 손상능 및 세포막 투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출처: 서지정보양식 - 초록 197p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427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