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요 가. 온실 농가에서 최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환경요소들을 고려한 시스템과 식물 생육단계별 이산화탄소 시비 농도/광 조건/양분조건(EC/N/K/농도) 등 최적의 조건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재배시스템의 구축 나. 호접란은 야간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식물로서, 냉·난방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야간 밀폐 환경에 시비하기에 적절함 다. 국내 화훼류 분화 소비 1위인 호접란을 이용하여 적절한 재배요건 구명을 통한 광합성률 증가로 작기 단축 및 개화 후 품질 상승이 가능할 것이라 예상됨 라. 복합환경 적응형 난방 및 CO<sub>2</sub> 제어 기술 등 모바일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농업에 적용할 수 있는 ICT 에너지 통홥 관리시스템의 필수 정보가 될 수 있는 작물 생리 정보 구축 가능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 이산화탄소 시비 적정 농도와 재배 작기 단축 가능성을 알아보았음 가. 호접란 품종 및 이산화탄소 시비 농도에 따른 생육 및 광합성 연구수행을 통하여 적절한 이산화탄소 시비 농도를 구명하고 식물 생리적 영향도 알아보았음 나. 호접란 0, 6, 9개월묘에 따라 적정 이산화탄소 시비 농도를 조사하여 작기단축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2차년도 – 이산화탄소 시비 시 적정 광/양분(EC농도) 조건을 구명함 가. 시설재배하우스에서 CAM 식물에 이산화탄소 시비 시 다양한 광도 및 고농도 양액관수를 통해 화아 수 증대 및 개화 소요일수를 단축하였음 나. ICT기술과 융합하여 통합관리시스템 연구 - 실제 농가에 액화탄산가스로 이산화탄소 시비를 진행하고 실시간 환경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모니터링 시행 3차년도 – 이산화탄소 시비 시 식물생장단계별 N/P/K함량 조사를 통하여 세부 재배 메뉴얼을 구축하였음 가. 호접란 이산화탄소 시비 시 영양생장기 적정 광도 및 질소 함량 구명 및 생식생장기 적정 칼륨 농도 함량을 구명하고자 함 다. 탄소흡수원으로 화훼류 시설원예 분야에 이용 및 호접란 생육 단계별 적정 환경 조건 메뉴얼 작성하였음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가. 시설원예 온실 내 이산화탄소 최적의 조건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호접란에 적용할 경우, 하절기 냉방비와 동절기 난방비를 감소하는 효과 뿐 아니라 시설 내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광합성률 증가로 인하여 재배 작기 단축 및 개화 후 품질 상승이 예측됨 나. 온실 단지에 개발시스템을 보급함으로써 원예시설의 고도화 가능 및 고부가 작물의 생산성 증대를 통한 농업 경쟁력 확보 가능 다. 이산화탄소 시비를 통해 생장기간 단축, 수확량 증가, 품질 개선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화훼류에 활용할 시 경제적 효과가 증대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