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차세대 ICT기기용 3D 나노구조의 에너지 저장장치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제1장 연구과제의 개요 제1절.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필요성 1. 개발기술의 주변환경과 필요성 가) 기술적 측면 ○ 초고용량 커패시터 또는 전기화학 커패시터라고 명명되기도 하는 슈퍼커패시터는 전기화학적인 이온흡착 및 산화환원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변환저장하며 신속한 충방전을 반영구적으로 반복할 수 있는 고효율, 고출력형인 차세대 전기에너지 저장 기술로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응용분야가 급격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소형 경량화 특성 / 간단한 장착 및 유지보수 불필요 / 급속 충방전 특성 · 기존 커패시터보다 높은 에너지밀도 / 기존 2차전지보다 100배 이상의 고출력밀도 · 환경 친화적인 재료 / 폭발 위험이 없는 안정성 / Memory effect가 없음 · 넓은 작동온도 및 반영구적 수명 ○ 상용화된 전기이중층커패시터 (EDLC)는 에너지밀도 측면에서 2차전지 대비 1/10 수준에 머물러 국가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에너지밀도와 파워밀도를 동시에 상승시키는 고품위화 전략이 필요. ○ 2012년 처음 보고된 플로우커패시터(electrochemical flow capacitor, EFC)의 경우 전극물질과 전해질이 혼합 슬러리를 이동시켜 충ž방전을 수행하는 형태이고 EDLC에 기반한 고 에너지밀도 구현에는 어려워 보이는 구조임. ○ 슈퍼커패시터의 에너지 저장밀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에는 대부분 그래핀이 이용되고 있으며, 2015년에는 3차원 탄소나노튜브/그래핀 빌딩구조를 이용하여 최대 출력밀도와 최대 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킨 연구가 발표되기도 하였음. (* 출처: ACS Nano, online, doi: 10.1021/nn507079x, 2015. 02) ○ 그래핀을 전극물질로 이용한 슈퍼커패시터 개발 연구로는 한국전력연구원, 비나텍, 한국과학기술원, 가천대학교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기존의 활성탄소보다 가벼우면서 고성능을 내는 슈퍼커패시터가 보고되기도 하였음. (* 출처: 투데이에너지, 2018년 4월 17일자 기사) ○ 최근 과학계의 폭발적 관심을 받고 있는 그래핀은 2차원 형상의 탄소 nanosheet로서 높은 비표면적 (2,600 m 2 /g), 우수한 전기전도도(> 10,000 S/m) 및 기계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에너지저장장치분야에서 기존 탄소 소재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돌파기술 (breakthrough technology)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핵심 전략소재로 평가되고 있음. (출처: Market Research Report, GRAPHENE: Technologies, Applications, and Markets, BBC Research, 2011) ○ 최근, 그래핀을 EDLC 전극 소재로 적용한 논문이 다수 보고 되고 있으나, EDLC의 특성상 에너지용량은 10 Wh/kg이하로 제한되고 있음. 상술한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그래핀 전극소재 복합화 및 나노/마이크로 구조의 3D화를 통한 높은 에너지밀도 슈퍼커패시터의 개발이 시급함. 즉, 그래핀의 우수한 특성에 기반하고 질화물/산화물과 복합된 복합소재를 슈퍼커패시터의 전극으로 적용 시 “Battery-like capacitor 개념의 고품위 슈퍼커패시터” 개발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본문 : 제1장 연구과제의 개요 25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581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