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Flavonoids를 이용한 악성 흑색종 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공주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천연물질인 flavonoids계 물질을 사용하여 흑색종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음. - 다양한 flavnoids의 항암 효능을 평가하고 작용 기전을 확립하는데 목적이 있음. -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흑색종 치료제의 보완, 대체 및 combination treatment 방법을 연구하여 항암 화학요법의 대체 물질로의 가능성을 판단하고, 긍정적 결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흑색종을 치료하는데 있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악성흑색종에 대한 플라보노이드 물질의 항암 연구 및 퀘르세틴을 비롯한 다양한 물질에서의 항암연구를 진행하여 다수의 국내논문, 해외논문 및 특허를 등록하였음. - 퀘르세틴의 악성흑색종에 대한 항암효능 및 기전에 대한 연구결과를 2019년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IF=3.170) 에 게재완료하였으며, 우르솔릭산의 악성흑색종에 대한 항암효과 결과를 2019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에 게재하였음. - 피페린 물질의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능 결과를 2019년 anticancer research(IF=1.935)에 게재하였음. - 2017년에는 유방암에 대한 씀바귀 추출물의 항암효능에 대한 논문을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IF=4.183)에 게재하였으며, 2018년에는 퀘르세틴 물질의 항염증효능에 대한 논문을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IF=2.928)에 게재하였음. - 2019년에는 황칠나무추출물의 항염증효능에 대한 연구를 Molecular Medicine Reports(IF=1.851)에 게재하였으며, 피페린의 항암효능 논문( Anticancer Research, IF=1.935), 실리마린의 위암에 대한 항암논문(Oncology Reports, IF=3.041), 퀘르세틴 물질의 흑색종에서의 항암효능 및 기전을 연구한 논문을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IF=3.170)에 게재하였으며, 대장암에 대한 퀘르 세틴의 항암효능논문을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에 게재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기술적 측면 - 다양한 플라보노이드의 항암 활성 기전을 명확하게 규명한다면 기존 치료제들의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가능 - 국·내외 전문가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관련 지식과 기술의 교류가 가능하며 전문 연구 인력 양성 가능 2) 경제·산업적 측면 - 천연물신약 연구개발은 높은 수익을 창출해내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본 연구를 통해 흑색종에 효과적인 의약품 개발을 위한 생산 기반을 구축한다면 항암제 시장으로도 진출 가능 - 또한 이를 통해 향후 의약계 산업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지식 산업 구축 가능 -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있는 국내 식물을 특용작물로써 활용한다면 위축되어있는 국내 농업의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고 국가경제 활성화 가능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90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