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세포 소기관 표적 자기조립을 통한 새로운 항암치료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울산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세포 소기관 (미토콘드리아, 리소좀)을 표적할 수 있는 리간드가 연결된 자기조립 분자 library 설계 및 합성 ⦁ 분자구조와 자기조립 현상의 관계(Molecular Structure & Self-Assembly Relationship) 정립과 세포 소기관에서의 자기조립 관찰 ⦁ 미토콘드리아 및 리소좀에서의 자기조립 구조와 세포내 생체물질간의 상호관계 고찰과 세포의 기능 변화 관찰 ⦁ 미토콘드리아 및 리소좀에서의 자기조립 및 생물학적 광물 생성작용에 의한 암세포 자가소멸을 통한 항암 치료법 개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세포 소기관을 표적하는 분자 합성 및 자기조립 관찰 & In-situ 자기조립 나노 구조체의 관찰 (1) 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를 표적할 수 있는 감광제를 전달한 후 빛을 조사한 뒤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시스템을 개발 (2)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생체 광물을 형성하여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를 유도하는 시스템 개발 ⦁ 합성 나노구조의 항암치료로서의 효과 관찰 및 in vivo 효과 관찰 (1)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거울상 이성질체 펩타이드의 자기조립을 관찰하고 형태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 유도 (2)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 유도를 위해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Disulfide로 이루어진 고분자를 형성. 형성된 고분자는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이 활성산소는 더욱 Thiolate간의 결합 반응을 촉진시키고 이는 더욱 많은 고분자를 형성시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유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존의 자기 조립에 의해 형성된 구조와 생체물질간의 상호작용 연구의 한계점은 나노 구조체 전달의 어려움에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세포막을 통해 침투가 용이한 작은 유기분자를 이용하여 세포 소기관 내의 자기조립 나노구조체 형성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 기대. ⦁ 본 연구에서는 정상세포와 암세포간의 차이점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암세포 내에 축척하여 자기 조립을 통해 나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분자를 합성함으로써 기존의 항암치료의 부작용이라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 ⦁ 본 연구의 목적은, 암세포의 소기관을 표적하는 분자기반의 자기조립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임. 기존의 항암요법으로 쓰이는 항암제는 암세포에 내성이 생기게 하는 multidrug resistance (MDR효과)을 유발함. 그러나 암세포의 소기관 (미토콘드리아)을 표적하여 자기 조립하는 나노 구조체는 이러한 MDR효과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70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