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인공지능의 진화에 의한 정밀의료(precision health)의 발전 방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10-1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김미영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개요 오늘날 의학은 점점 더 예방적이면서 개인화, 정밀화되고 있다. 같은 병에 걸린 환자라 하더라도 저마다의 유전적 특성과 환경 등에 따라 치료법이 다를 수가 있지만, 이런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오랜 시간과 비용이 들었기 때문에 개인화된 맞춤형 의료서비스는 실효를 거두기 어려웠다. 최근 바이오정보학과 컴퓨터공학 분야의 유전자분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이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게 되면서 개인화된 맞춤형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2007년 900만 달러에 육박하던 유전자 칩의 가격이 2017년에는 1,000달러 남짓한 가격으로 크게 하락했다. 또한 바이오정보학 연구들이나 23andMe와 Mapmygenome 같은 유전자 검사 서비스, 그리고 시장규모를 넓혀나가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헬스케어 관련 모바일앱 등으로부터 유례가 없는 방대한 규모의 의료 데이터가 측정 및 생성되고 있다. 이를 인공지능(AI)을 적용해 분석함으로써, 의학은 질병의 진단 및 치료의 정확성와 예후를 향상시키고, 개인의 건강위험을 관리하고 질병을 피하기 위해 생활 방식을 바꾸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정밀의료는 유전적, 임상적 정보의 가공과 분석을 위해 방대한 데이터에 의존하게 되는데, 인공지능의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그 효용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많은 잠재적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인공지능의 진화에 의한 정밀의료의 발전 방향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한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2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